"국민 10명 중 7명, 해방 이후 친일 잔재 청산 안 돼"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국민 10명 중 7명이 1945년 해방 이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리아데이터월드는 13일 광복회의 의뢰로 지난 1∼7일 일반 국민 1000명, 독립유공자 후손 850명 대상 광복 80주년 계기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조사 결과 일반 국민의 70.9%, 독립유공자 후손의 78.0%가 '해방 이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민족 행위자 후손이 여전히 사회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응답 비율은 일반 국민 63.6%, 독립유공자 후손 70.2%였다.

특히 '지금이라도 친일 잔재 청산이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은 일반 국민 71.8%, 독립유공자 후손 83.1%로 조사됐다.

또 국민은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중요 사항'에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반성'(30.5%), '역사 왜곡 방지를 위한 공동 역사연구 및 교육협력'(17.1%), 정치적 이용이 아닌 일관된 외교원칙 유지'(11.5%) 순으로 응답했다.

일반 국민 대상 조사는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09%포인트, 독립유공자 대상 조사는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9%포인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