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 "中, 日국장이 통역에 귀 기울이는 장면을 머리 숙인 것처럼 보도"

  • 아사히 "CCTV 실무 협의 후 장면 상세히 보도...매우 이례적"

  • 마이니치 "선전전의 일환"...류 국장 인민복풍 정장에 "애국심 자극"

류진쑹 중국 외교부 국장오른쪽이 가나이 마사아키 일본 외무성 국장왼쪽과 대화하고 있다사진중국 관영 CCTV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 캡처
류진쑹 중국 외교부 국장(오른쪽)이 가나이 마사아키 일본 외무성 국장(왼쪽)과 대화하고 있다.[사진=중국 관영 CCTV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 캡처]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시사 발언을 둘러싼 중·일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일본 언론들은 19일, 최근 중국 외교부 청사에서 촬영된 장면에 대해 "중국이 우위를 연출하려 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지지통신은 현장 취재 내용을 바탕으로 일본 외무성 국장이 단순히 통역의 설명에 귀를 기울였을 뿐인데, 중국 측은 이를 마치 "고개를 숙인 모습처럼 부각했다"고 전했다.

지지통신은 이날 "자사 기자가 직접 현장에 있었다"며 당시 상황을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보도에 따르면 양측 국장이 로비에 모습을 드러냈을 때, 주머니에 손을 넣은 류진쑹 중국 외교부 아주사 사장(아시아 국장)이 말을 시작하자 가나이 마사아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옆에 서 있던 통역의 설명을 듣기 위해 몸을 기울였다. 그러나 이 모습이 중국 매체의 영상에서는 마치 '일본 국장이 중국 국장 앞에서 머리를 숙인 것'처럼 보이도록 연출됐다는 것이다.

중국 관영 CCTV가 공개한 해당 영상은 양국 국장급 협의 직후의 장면을 담고 있었다. 영상 속에서 류 국장은 청사 현관 앞에서 주머니에 손을 넣은 채 굳은 표정으로 가나이 국장을 내려다보고, 가나이 국장은 고개를 살짝 숙인 자세로 서 있다. 이 장면은 중국 SNS와 언론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며 '중국 외무성을 떠나는 일본 관리의 굴욕적인 장면'이라는 식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일본 언론들은 이러한 영상 공개 자체가 의도된 외교전이라고 보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실무 협의 후 장면을 관영 매체가 상세히 내보낸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일본이 중국 외무성에 해명하러 온 듯한 인상을 만들려는 목적이 엿보인다"고 분석했다. 일부 중국 매체가 '고개 숙여 중국 외무성을 떠나는 일본 관리'라는 제목을 붙인 점도 이에 힘을 실어 준다고 했다.

마이니치신문은 중국 CCTV의 영상 공개를 "선전전의 일환"으로 규정했다. 특히 류 국장이 입은 인민복풍(人民服風) 정장에 대해 "중국 내부를 향한 애국심 자극 메시지가 담겼다"고 해석했다. 이어 "중국 측은 사태의 주도권을 쥐고 있다는 이미지를 국내외에 강조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17일 베이징에서 열린 양국 외교당국 국장급 협의는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유사시는 일본의 존립위기 사태' 발언을 둘러싼 갈등 속에서 진행됐다. 류 국장은 중국 측 입장을 강하게 전달했고, 가나이 국장은 이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며 일본 정부의 기존 입장을 설명했다.

중·일 갈등이 여전히 냉각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이번 영상 논란은 양국의 민감한 외교적 기류를 다시 한 번 드러낸 사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