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억원 신임 금융위원장 후보자 [사진=대통령실]
이억원 전 기획재정부 1차관이 신임 금융위원장에 내정됐다. 정통 경제관료 출신의 거시경제정책 전문가로 꼽히는 그는 이번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경제정책 밑그림을 그리는 데 기여했다.
이 대통령은 13일 금융위원장 후보자로 이억원 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를 지명했다. 이억원 신임 금융위원장 후보자는 1967년생으로 서울 경신고,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991년 행정고시 35회로 공직에 입문한 뒤 기획재정부에서 미래전략과, 종합정책과 등을 이끈 경험이 있다.
그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기획재정부 경제구조개혁국장, 경제정책국장을 역임한 뒤 대통령비서실 경제정책비서관을 거쳐 기획재정부 1차관에 올랐다. 이후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직에서 물러난 뒤 현재 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와 한국금융연구원 초빙연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이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정식으로 임명되면 이재명 정부의 금융정책을 이끌게 될 전망이다. 이날 금융감독원장으로 지명된 이찬진 변호사, 지난달 선임된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 등과 호흡을 맞춰 국정과제를 중심으로 정책을 꾸려나갈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과제는 금융감독체계 개편과 금융당국 조직개편이다. 관련 논의가 마무리되지 않으면 정책을 추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어떤 방향으로 결론이 나든 조직을 잘 결속해 금융정책에 공백이 없도록 하는 게 당면 과제다.
한편 현재 금융위에 있는 국내금융 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금융감독 기능을 신설 금융감독위원회로 통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금융감독체계가 유지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어 관련 논의가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이 대통령은 13일 금융위원장 후보자로 이억원 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를 지명했다. 이억원 신임 금융위원장 후보자는 1967년생으로 서울 경신고,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991년 행정고시 35회로 공직에 입문한 뒤 기획재정부에서 미래전략과, 종합정책과 등을 이끈 경험이 있다.
그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기획재정부 경제구조개혁국장, 경제정책국장을 역임한 뒤 대통령비서실 경제정책비서관을 거쳐 기획재정부 1차관에 올랐다. 이후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직에서 물러난 뒤 현재 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와 한국금융연구원 초빙연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이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정식으로 임명되면 이재명 정부의 금융정책을 이끌게 될 전망이다. 이날 금융감독원장으로 지명된 이찬진 변호사, 지난달 선임된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 등과 호흡을 맞춰 국정과제를 중심으로 정책을 꾸려나갈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현재 금융위에 있는 국내금융 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금융감독 기능을 신설 금융감독위원회로 통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금융감독체계가 유지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어 관련 논의가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