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2분기 美 관세비용 8282억원..."하반기 조단위 손실 맞서 부품·생산 탄력 대응"(종합)

  • 2분기 영업이익, 전년비 15.8% 감소한 3조616억원

  • "현행 관세율 낮아지길 희망...3·4분기 혹한기 예고에 비상 플랜 가동"

아주경제 DB
[그래픽=아주경제 DB]

현대자동차는 24일 콘퍼런스콜을 통해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3조61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8% 감소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7.3% 증가한 48조286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분기 기준 최대였지만 영업이익은 지난 4월부터 부과된 미국의 25% 자동차 관세 여파가 본격 반영되면서 1년 전과 비교해 10%대 이상 급감했다. 시장에서도 '어닝 쇼크'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다만 영업이익률은 우호적인 환율 효과로 7.5%라는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현대차의 2분기 글로벌 도매 판매량은 106만5836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8% 증가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팰리세이드와 아이오닉 9 신차 효과로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판매가 늘며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18만8540대가 팔렸다. 같은 기간 해외 판매량은 0.7% 늘어난 87만7296대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미국 판매량은 3.3% 늘어난 26만2305대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미국 관세 영향 탓에 영업이익이 크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국내는 물론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판매량 증대로 외형적 성장은 이어갔지만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 반영됐고 경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인센티브 및 판매 비용 증가로 손익은 둔화됐다"면서 "2분기 관세 비용은 8282억원가량 된다"고 말했다.
 
또 "2분기 관세 효과는 부분적이고, 만약 이 추세(현행 관세율 25%)로 3·4분기에 관세 효과가 풀로 반영되면 분기별로 1조원 이상의 관세 비용이 발생한다는 우려가 있다"면서 "금액은 예단할 수 없지만 향후 영향이 더 클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고 했다. 올 2분기 지출된 관세 비용에서 약 20%는 부품 관세로 추정된다.

일본이 전날 미국과의 자동차 관세 협상에서 관세율을 현행 25%에서 15%로 낮추면서 현대차의 대미 전략에는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이에 대해 현대차 관계자는 "한미 관세협상이 진행중인 상황에서 개별 기업이 관세율의 적절성을 언급하기는 어렵지만 지금보다 낮아지길 희망하고 있다"면서 "탄력적인 인센티브와 가격전략을 병행 추진하고, 동시에 재료비, 가공비 절감은 물론 부품 소싱 변경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또 "핵심 사업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투자 우선순위에 입각한 경상, 투자예산의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지속하겠다"면서 "장기적으로 연구개발, 생산, 품질 전사 협업체계 구축을 통한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부품 현지화를 추구하고 시나리오별 완성차 현지 생산 확대를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관세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하반기 전망도 그리 밝지 않다. 그럼에도 현대차는 미국에서 판매하는 자동차 가격 인상은 아직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미국 시장에서는 '패스트 팔로워(빠른 모방자)' 전략을 추진하겠다는 것이 원칙"이라며 "어렵지만 시장 점유율을 방어하는 선에서 손익을 최대한 유지하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관세라는 대외 변수에 따라 상품 가격을 조정하지 않고, 시장 반응과 경쟁사 동향을 살피며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부품 소싱도 현지화 비율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재 태스크포스팀을 통해 200여개 부품에 대한 견적을 받았고, 수출과 현지 소싱의 유불리를 검토하고 있다"며 "어떤 방법이 최적인지도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또 "미국 앨라배마공장의 생산 효율화 방법론을 메타플랜트로 수평 전개할 수 있도록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현대차 실적이 예상보다 크게 꺾이면서 부품사들이 줄줄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부품업계는 관세 여파가 누적되면서 2분기 적자를 낸 기업이 속출하고, 도산하는 곳도 발생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완성차 업체가 기침만 해도 1차 협력사가 크게 흔들리고, 그 아래 2·3차 협력사는 수백 곳이 무너진다"며 "정부가 관세 불확실성을 조속히 끝내고 부품사 지원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