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개장터는 지난 21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개최된 '2024·25 한-폴란드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최종보고회 및 고위 정책 대화'에서 한국 혁신 스타트업을 대표해 공식 초청 받아, 리커머스 혁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24일 번개장터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폴란드 경제개발기술부 주최로 미하우 야로스 차관, 마리안나 시도로프 디지털경제국장 등 폴란드 정부 관계자를 비롯해 동유럽 최대 이커머스 기업인 알레그로(Allegro)와 현지 ICT 기업 협회(e-izba), 정책 기관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헸다. 한국 측에서는 태준열 주 폴란드 대사와 KDI 국제개발협력센터, 코트라, 한국수출입은행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미하우 야로스 폴란드 경제개발기술부 차관은 행사 모두발언을 통해 "한국이 그동안 성취해 온 디지털 전환 정책 사례가 유용한 벤치마킹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사업을 계기로 한국-폴란드 기업 간 협의 등 후속 협력이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주제 발표를 진행한 염승훈 번개장터 글로벌 PR 담당은 "번개장터는 국내 대표 리커머스 플랫폼으로, AI 기반 실시간 사기 모니터링 및 에스크로 안전결제 시스템 도입으로 사기 비율을 80% 이상 줄이고 거래량을 2배 이상 늘렸다"고 강조했다. 또한 인공신경망의 단계별 계층 분리 분석 기술을 활용한 정가품 과학 검수 APT(Authenticity Proof Technology) 솔루션, 글로벌 K-콘텐츠 거래를 위한 AI 다국어 검색·번역 기능 등 기술적 경쟁력을 소개했다.
그는 전체 이용자의 76%가 MZ세대임을 언급하며 "모바일·데이터 기반 인증·결제가 리커머스 시장 신뢰 제고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폴란드 경제개발기술부 마리안나 시도로프 디지털경제국장은 "폴란드 내 중소기업의 비중은 국가 GDP의 45.3%에 달하며, 관련 종사자 수만 1000만 명이 넘는다"며 "한국 기업의 디지털 전환 사례가 폴란드의 정책 수립에 큰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KSP 최종보고회에 KSP 연구진으로 참여한 윤혜선 한양대 교수는 "이번 KSP 사업을 통해 우리 정부와 기업이 함께 폴란드 정부의 '디지털 전략 2035' 기치로 하는 디지털 전환 10개년 정책 방향 설정과 액션 플랜 수립에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었다"며 "한-EU 간 ICT 스타트업 협력 확대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