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박찬대 '당원주권·검찰개혁' 한목소리...'대야관계' 온도차(종합)

  • 8·2 전당대회 앞두고 당원 지지 호소..."이재명 정부 성공 위해"

더불어민주당 정청래왼쪽·박찬대 당대표 후보가 16일 서울 양천구 목동 SBS에서 TV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한 뒤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왼쪽)·박찬대 당대표 후보가 16일 서울 양천구 목동 SBS에서 TV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한 뒤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대표에 도전하는 정청래·박찬대 후보가 '당원주권 정당'과 검찰개혁 필요성에 대해서는 의견을 같이했지만, 야당과의 관계 설정을 두고는 뚜렷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정 후보와 박 후보는 16일 오후 SBS뉴스브리핑에서 한 민주당 당대표 후보 토론회에 참석해 각자 공약을 발표하고 상호 질의응답을 주고 받았다. 

정 후보는 "당대표가 되면 즉시 '당원 주권국'을 설치해 1인 1표 시대를 여는 당헌·당규 개정 작업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연말에 전 당원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당원 콘서트' 개최를 제안하면서 "당원 대상과 최우수상, 우수상 등을 수여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어 그는 △원내대표·국회의장 경선 시 권리당원 참여 20% 보장 △전 당원 투표제 상설화 △연 1회 당원 정책박람회 개최 △SNS 활동 지수 공천 반영 등을 약속했다. 

박 후보는 "정 후보의 좋은 정책은 수용할 수 있다"면서도 "연말 콘서트나 당대표 월 1회 당원교육 강사참여, SNS 활동 공천 반영 등이 당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지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벤트 공약이나 각종 행사보다는 당원이 실질적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 정비하는 게 핵심"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 △지구당 부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 △전략공천 당원 추인제 △국회의원 당원평가 확대 등을 제시했다.  

두 후보는 야당과 협치에 있어선 온도차를 보였다. 정 후보는 "협치와 안정, 통합 같은 미사여구는 대통령이 쓸 단어"라며 "당은 궂은 일과 험한 일을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에 "협치를 포기하지 않겠다고 한 것이지, 협치 당대표가 되겠다고 한 적 없다"며 "야당과의 협치를 포기하지 않고 인내해야겠지만 그들이 사과와 반성을 먼저 해야 하지 않겠나"고 맞섰다. 이어 "협치는 추구하지만, 불필요한 거래는 단호히 끊겠다"고 했다. 

당내 개혁 과제로 꼽히는 검찰개혁과 관련해 두 후보는 추진 시기와 방향 모두 뜻을 함께 했다. 검찰개혁 법안이 9월 말 국회를 통과하면, 시행을 위해 유예기간을 1년 정도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했다. 박 후보는 "법안에 1년 유예기간이 명시돼 있다"며 "수정 제안이 없다면 이를 기준으로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정 후보도 "검찰 출신 의원들 사이에서도 최소 10개월 이상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며 동의했다.

개혁의 방향성에 있어서도 두 후보는 '수사·기소 분리' 원칙을 공유했다. 박 후보는 검찰청 해체와 함께 중대범죄수사청, 공소청,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국가수사위원회 설치를 제안했다. 정 후보는 "검찰의 권한 독점은 부패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검찰개혁은 이재명 정부에서 가장 먼저, 전광석화처럼 처리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