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 AI시대 대비 '전자산업의 쌀' MLCC에 올인

  • AI서버·전장용 MLCC 개발 박차

  • 초소형·초고용량 등 최고 기술력 지향

이민곤 삼성전기 MLCC 개발팀 상무가 지난 14일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제품학습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삼성전기
이민곤 삼성전기 MLCC 개발팀 상무가 지난 14일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제품학습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삼성전기]

삼성전기가 인공지능(AI) 시대에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적층세라믹캐패시터(MLCC)' 사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는 전기를 보관했다가 일정량씩 내보내는 '댐'의 역할을 하며, 얇은 두께의 내부에 최대한 층을 많이 쌓아 전기를 축적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로, '전자산업의 쌀'이라고 불린다. 전기를 저장했다가 반도체(AP, CPU, GPU 등) 능동부품에 안정적으로 공급해 반도체의 원활한 동작을 돕는 핵심 부품이다.

지난 14일 삼성전기는 AI서버·전장용 MLCC 제품 학습회를 열고, 이에 대한 설명 시간을 가졌다. 이날 삼성전기에 따르면 MLCC는 스마트폰 등 기존 IT 시장에서 시작해 최근 AI서버, 전기차,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자율주행 등 미래 산업 분야서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삼성전기는 그중에서도 고부가가치 기술을 중심으로 AI서버·전장 시장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AI서버·전장용 MLCC는 높은 성장률이 예상된다. 전기차 한 대에 들어가는 MLCC는 약 2만~3만개, 최신 AI서버에는 일반 서버 대비 약 10배 이상의 MLCC가 탑재된다.

시장조사기관 마케츠앤드마케츠에 따르면 글로벌 AI 서버 시장은 지난해 1429억 달러(약 196조원)에서 2030년 8378억 달러(약 1150조원)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장용 MLCC 역사 시장이 계속 성장하고 있다.
삼성전지 MLCC 목업 사진조성준 기자
삼성전지 MLCC 목업 [사진=조성준 기자]

고성능화와 고집적화가 요구되는 AI 서버에서는 소형∙고용량, 고온(105도) MLCC가 요구되고, 사람의 생명과 직결되는 전장에서는 고용량, 고온(125~150도), 고압(<2000V)의 고신뢰성 MLCC가 요구된다. 삼성전기는 고온(150℃), 고전압(2000V), 충격 및 높은 습도에도 견디는 고성능 MLCC 기술을 통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또한 차세대 전자부품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도 산업·전장용 고신뢰성 기술과 IT용 초고용량 기술을 기반으로 시장을 선점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삼성전기는 1988년부터 MLCC 사업을 시작했으며 2016년에는 산업·전장용 MLCC를 생산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2018년 부산에 전장 전용 생산라인을 구축하며 전장용 MLCC 사업을 본격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또한 MLCC의 핵심 원자재를 자체 개발·제조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삼성전기는 부산사업장에 전장 전용 원재료 공장을 신축해 2020년부터 가동하고 있다. 이밖에 수원과 부산사업장은 연구개발 및 신기종 및 원료 생산을, 중국 톈진과 필리핀 생산법인을 대량 양산기지로 운용하고 있다.

이민곤 MLCC 개발팀 상무는 "파우더를 최대한 작게 만드는 기술이 MLCC의 핵심이다"라며 "삼성전기는 이처럼 작은 파우더를 만들 수 있는 공법을 개발했으며, 부산사업장에 생산 체계를 갖추고 앞으로도 기술적 진보를 위해 도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