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맵 프로토콜은 기존 비트코인 기반 크로스체인 솔루션에서 한 단계 진화한 형태다. BTC 중심의 유동성 시장과 실물자산 토큰화 생태계에 최적화된 인프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맵 프로토콜 관계자는 “2024년 SEC의 BTC 현물 ETF 승인 이후, 유럽·홍콩 등 주요 국가에서도 유사 규제가 도입됐다”며 “기관과 기업의 BTC 보유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도 급격히 성장 중인 만큼, BTC·스테이블코인·토큰화 자산 간 신뢰 가능한 교환 수요에 대응하고자 전략을 전환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200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시장조사기관 비트와이즈는 올해 시가총액이 4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사용자는 별도 브릿지나 제3자 개입 없이 비트코인을 직접 스테이블 코인인 USDT로 교환할 수 있다. 각 체인 간 자산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이 구조는 비트코인처럼 순수한 피어 투 피어(P2P) 방식으로 작동해 소스 체인 상 트랜잭션 발생 여부만을 기준으로 유효성을 검증하기 때문에 보안성과 투명성을 크게 높였다.
맵 프로토콜 측은 “이 같은 구조로 탈중앙화 보안성과 사용자 친화적 UX, 멀티체인 호환성을 기반으로 Web3 인프라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맵 프로토콜은 자사의 스왑 인프라인 ‘버터스왑(Butter Swap)’으로 현재 매월 약 1억7000만 달러(약 2336억 원) 규모의 스테이블코인 스왑을 처리하고 있다. 향후 원화(KRW)와 홍콩달러(HKD), 역외 위안화(CNH) 기반 스테이블 코인 간 스왑도 지원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