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추경의 신속한 집행을 위해 해당 공무원이 주일무적(主一無適 정성을 다해 한곳에 집중함)해야 함을 강조 했다. 정권이 바뀌고 나서야 뒤늦게 편성된 추경인 만큼 효과를 높이려면 차질 없는 집행이 관건이라며 이같이 당부했다.
10일 '새 정부 추경예산 대응 민생경제 점검 회의'도 긴급 소집했다. 그리고 "추경이 민생 살리는 ‘산소호흡기’가 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사업을 진행. 새정부 추진 정책이 시너지 내도록 뒷받침 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2025년 7월 10일 자 아주경제 보도) 김 지사의 이런 발 빠른 대처는 1년 넘게 지속되고 있는 경기 부진으로 민생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매우 적절한 조치다.
특히 민생 회복 소비 쿠폰을 포함한 정부 추경예산 집행 현황을 공유하고, 정부 정책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도 차원의 추가 대책 마련도 기대돼 '아주 시의적절한 조치'라는 도민들의 평가도 나왔다. 올해 제2차로 편성된 새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은 총 31조 8000억 원 규모다. 경기진작과 민생 안정을 위한 대규모 투자를 담고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민생회복소비쿠폰과 관련 집행 예산이다. 총사업비 13조 9000억 원에 달한다. 경기도는 이중 국비 3조 1000억 원, 지방비 3500억 원 등 총 3조 4500억 원을 확보하고 오는 21일부터 순차적으로 집행할 예정이다. 면면을 볼 때 한시라도 집행 속도를 늦추면 안 되는 예산들이다.
민생 경제가 침체하고 고금리·고환율 상황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내수를 살리기 위해서는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는 예산이어서 더욱 그렇다. 이 외에도 확보된 추경에는 민생과 관련된 예산이 대규모로 포함돼 있다.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중소기업 근로자 대상 휴가비 지원 △저임금 근로자 사회보험료 지원 △AI 확산 및 인프라 구축 △축사시설 개선 및 교체비용 등등.
경기도는 신속한 예산 집행을 위해 일찍부터 준비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21일부터 신청 및 지급을 시작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신속하고 원활한 지급을 위해 전담조직(TF) 구성도 마쳤다. 하지만 김 지사는 '만사(萬事) 불여(不如)튼튼'이라는 신념으로 이번에 재차 점검을 지시한 것이다.
도민들과 국민들 민생 돌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경사이신(敬事而信)’ 즉 어떤 일이든 한결같은 마음으로 집중해야 믿음을 살 수 있다. 변함없는 철학으로 추경 신속 집행을 독려하고 점검하는 김 지사의 노력이 좋은 결과를 맺어 힘들고 지친 서민들에게 큰 힘이 되길 바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