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을 사칭한 문자결제사기(스미싱) 피해가 우려된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행정안전부는 10일 “정부와 금융기관 등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온라인 신청 시 인터넷 주소(URL·링크)가 포함된 문자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일절 발송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최근 소비쿠폰 신청·지급 시기를 앞두고 이를 악용한 스미싱 시도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정부·금융기관 등을 사칭해 ‘지급 대상 안내’. ‘카드 승인’, ‘신청 확인’ 등의 문구가 담긴 문자로 이용자들을 속여 악성 앱을 설치하게 하는 수법이 우려된다.
만약 국민비서·카드사·은행 외에 출처가 불분명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안내 문자를 받거나 정부·카드사를 사칭한 의심스러운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SNS 안내 문자를 받으면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공식 문자가 아닌 의심 문자로 판단되면 클릭하지 말고 바로 삭제해야 한다. 문자를 열람했다면 문자 내 URL을 절대 클릭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스미싱 의심 문자를 받았거나 문자 내 인터넷 주소를 클릭한 이후 악성 앱 감염 등이 의심되는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 118상담센터에서 상담받을 수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4시간 무료로 운영한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카드사 앱·누리집, 콜센터·ARS와 지역사랑상품권 앱·누리집 등에 접속해 비대면(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카드사와 연계된 은행, 지방자치단체 주민센터에서 신청해야 한다.
정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비대면 신청 시 신청페이지에 스미싱 주의 안내문구를 포함하고 어르신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은행과 지방자치단체 주민센터를 통한 대면 신청 시 스미싱 주의 안내를 같이 진행할 예정이다.
또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전인 14일부터 각 통신사 명의로 ‘스미싱 피해예방 문자’를 순차 발송할 예정이다. 이밖에 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 17개사의 국민비서 알림서비스를 활용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안내 시 ‘스미싱 주의 메시지’를 같이 발송하는 등 다양한 창구를 통해 스미싱 주의 사항을 안내할 예정이다.
스미싱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 금융감독원·경찰청·한국인터넷진흥원을 통해 스미싱 발생과 신고 현황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피해 신고 접수 시 신속하게 수사에 착수하는 등 이용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