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해안과 전남 지역 일부 벼 재배지에서 벼멸구가 확인됨에 따라 전국 벼 재배 농가에 경계령이 떨어졌다.
10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최근 서해안·전남 지역에 나타난 벼멸구가 지난달 17일부터 24일 사이 날아온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에 들어와 약 27~30일이 지나면 성충이 되기 때문에 이달13부터 15일 사이에 성충 발생이 집중될 것으로 예측된다.
벼멸구는 중국 남부 등에서 발생해 편서풍을 타고 국내로 날아오는 이동성 해충이다. 벼 줄기에 붙어 즙을 빨아 먹기 때문에 피해가 심할 경우 수확량이 감소하고 품질이 떨어진다. 피해가 겉으로 드러나기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재배지 내 서식하는 마릿수를 확인해 대응한다.
농진청이 ‘한·아시아 비래해충 예찰 협력사업’을 통해 중국 내 지역별 예찰포의 해충 발생 상황을 확인한 결과, 현지 벼멸구는 지난해 6월보다 대비 2배 가량 많았다. 우리나라와 가장 가까운 강소성 지역은 애멸구 발생이 작년 대비 약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진청은 병해충 전문가로 구성된 ‘농작물 병해충 중앙예찰단’과 도 농업기술원, 시군농업기술센터와 서남해안 4개 도 20개 시군에서 합동 예찰을 추진하고 적기 방제 대책을 수립할 방침이다.
권철희 농진청 농촌지원국장은 “벼멸구는 여름철 고온이 지속되면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확산 속도가 빨라 피해 규모가 커질 수 있다”며 “7월 중순은 예찰과 방제 여부를 판단하는 분기점이므로 철저한 사전 예찰과 방제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