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의 하반기 실적을 책임질 인공지능(AI) 폴더블폰 신제품이 베일을 벗었다. 역대 갤럭시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벼운 데다 AI 기능도 한층 업그레이드 됐다. 폴더블폰 종가의 역량을 앞세워 중국의 맹추격을 따돌리겠다는 각오다.
삼성전자는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갤럭시 언팩 2025' 행사를 열고 초슬림 대화면 폴더블폰 '갤럭시 Z 폴드7'과 새로운 플립형 폴더블폰 '갤럭시 Z 플립7'을 공개했다. 삼성이 미국 뉴욕에서 신제품을 공개하는 건 2022년 8월 이후 3년 만이다.
이날 언팩 행사에서 노태문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은 폴드7에 대해 "하드웨어와 AI를 결합해 삼성전자가 선보인 가장 진보한 스마트폰 경험을 제공하는 제품"이라며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이 조화를 이루며 강력한 몰입감으로 직관적인 울트라 경험을 한 손에 담아냈다"고 설명했다.
폴드7은 접었을 때 직관적인 스마트폰 사용성을, 펼쳤을 때 대화면을 통해 몰입형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게 특징이다. 역대 갤럭시 Z 폴드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벼운 디자인으로 완성됐다.
플립7은 콤팩트한 디자인에 강력한 모바일 AI 기능을 결합했다. 기기를 펼치지 않아도 문자 회신, 음악 재생, 일정 확인, 고화질 셀피 촬영 등이 가능하고 제미나이 음성 호출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앱)을 구동할 수 있다.
노태문 사장은 "커버 디스플레이 전체를 스크린으로 쓸 수 있어 닫은 상태에서도 주요 기능을 직관적이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력해진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도 눈에 띈다. 구글과 협업으로 플립·폴드 7에 최신 운영체제(OS) '원(One) UI 8' 정식 버전을 탑재했다. 기기 내 신규 보안 솔루션 '킵'을 탑재해 개인 데이터를 갤럭시 AI 외 다른 앱에서 접근할 수 없도록 제어한다.
한편 이날 언팩 행사에서는 폴더블폰 시리즈의 첫 대중화 모델인 플립 FE와 함께 갤럭시 워치 8 기본 모델, 갤럭시 워치 8 클래식 모델 등도 함께 공개됐다. 부품부터 외관까지 재설계한 워치는 전작 대비 11% 얇아진 두께에도 성능은 더 향상됐다. 특히 스마트워치 최초로 '혈관 스트레스', '항산화 지수' 측정 기능을 탑재해 주목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갤럭시 언팩 2025' 행사를 열고 초슬림 대화면 폴더블폰 '갤럭시 Z 폴드7'과 새로운 플립형 폴더블폰 '갤럭시 Z 플립7'을 공개했다. 삼성이 미국 뉴욕에서 신제품을 공개하는 건 2022년 8월 이후 3년 만이다.
이날 언팩 행사에서 노태문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은 폴드7에 대해 "하드웨어와 AI를 결합해 삼성전자가 선보인 가장 진보한 스마트폰 경험을 제공하는 제품"이라며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이 조화를 이루며 강력한 몰입감으로 직관적인 울트라 경험을 한 손에 담아냈다"고 설명했다.
폴드7은 접었을 때 직관적인 스마트폰 사용성을, 펼쳤을 때 대화면을 통해 몰입형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게 특징이다. 역대 갤럭시 Z 폴드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벼운 디자인으로 완성됐다.
노태문 사장은 "커버 디스플레이 전체를 스크린으로 쓸 수 있어 닫은 상태에서도 주요 기능을 직관적이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력해진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도 눈에 띈다. 구글과 협업으로 플립·폴드 7에 최신 운영체제(OS) '원(One) UI 8' 정식 버전을 탑재했다. 기기 내 신규 보안 솔루션 '킵'을 탑재해 개인 데이터를 갤럭시 AI 외 다른 앱에서 접근할 수 없도록 제어한다.
한편 이날 언팩 행사에서는 폴더블폰 시리즈의 첫 대중화 모델인 플립 FE와 함께 갤럭시 워치 8 기본 모델, 갤럭시 워치 8 클래식 모델 등도 함께 공개됐다. 부품부터 외관까지 재설계한 워치는 전작 대비 11% 얇아진 두께에도 성능은 더 향상됐다. 특히 스마트워치 최초로 '혈관 스트레스', '항산화 지수' 측정 기능을 탑재해 주목을 받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