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일본 경제인들이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첨단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 협력을 확대하고, 한국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양국 경제인들은 28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57회 한일경제인회의에서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 더 넓고 더 깊은 한일협력’을 주제로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공동성명에는 △신뢰의 구축과 발전 △경제 연계 확대 △CPTPP의 활용 △교류의 확대 등 4개 부문에서의 합의가 담겼다.
이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계기로 양국 경제인은 그간 쌓아온 신뢰와 우정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한일과 세계의 미래를 위해 혁신적으로 제휴·협력해 나가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경제 연계 확대와 관련해선 “한일은 동아시아의 이웃 나라이자 자유와 민주주의의 가치를 공유하는 파트너다. 비즈니스 측면에서도 경쟁과 상호 보완 관계에 있으며, 공동의 과제를 안고 있는 만큼 한일 협력은 필연적”이라고 강조했다.
양국은 협력 분야로 △탄소중립과 수소 사회 실현 △AI(생성형)·반도체 연계 협력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육성 △공급망 강화 △에너지 확보 등을 제시했으며, 저출생·고령화 등 사회적 과제 대응에서도 협력하기로 했다.
한국 측 단장인 김윤 한일경제협회 회장(삼양홀딩스 회장)은 공동성명 발표 후 기자회견에서 "미국 새 정부의 통상 압력, 중국의 기술 추격은 한국과 일본의 공통 과제"라며 "미국 통상압력에 공동 대응하면 어떻겠느냐는 의견도 일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일본 측 단장인 아소 유타카 일한경제협회 부회장(아소시멘트 회장)도 "양국 모두 트럼프 정부가 들어서고 나서 아메리카 퍼스트라든지, 그로 인해 중국이 더 강력한 행동에 나설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있다"며 "한국과 일본이 경쟁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확실한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양국 경제인들은 “한일 경제계의 연계·협력 실현을 위한 환경 정비의 일환으로, 관련 단체와 협력해 한국의 CPTPP 가입을 위한 활동을 선행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CPTPP는 2018년 출범한 인도·태평양 무역 협정으로, 일본·호주·캐나다·영국·멕시코·베트남 등 12개국이 참여하고 있으며, 2019년 기준 세계 무역의 15.2%를 차지한다.
김 회장은 "양 국가 간 FTA(자유무역협정)는 여러 문제가 걸려있어 타결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복잡하기 때문에 CPTPP를 우선 진행하고, 장기적으로는 경제연합체를 만들어야 하지 않냐는 얘기가 있었다"고 전했다.
아소 부회장도 "FTA는 그다음 단계로 추진하는 것이 좋겠다고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교류 확대와 관련해선 "국경 없는 인적 왕래 실현을 위해 출입국 절차의 간소화 및 폐지를 요청하며, 그 진척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