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공포 재확산] 애플 이어 삼성까지 '최소 25% 관세'

  • 미국서 생산하지 않으면 불이익

삼성전자 로고 사진아주경제DB
삼성전자 로고. [사진=아주경제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대상 기업으로 애플에 이어 삼성전자를 콕 집어 거론했다. 해외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스마트폰에 대해 최소 25%의 관세 부과 방침을 시사한 가운데, 삼성전자도 예외일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제조사에 상관없이 미국에서 만들지 않는다면 불이익을 주겠다는 것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애플에만 관세를 부과할 것이냐는 취재진 질문에 "삼성이나 다른 기업도 해당될 것"이라며 "그렇지 않으면 불공평하다"고 말했다. 6월 말부터 스마트폰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도, "이곳(미국)에 공장을 지으면 관세는 없다"고 여지를 두기도 했다.

트럼프의 이날 발언은 스마트폰 제조사가 해외에서 제품을 만들어 미국에 들여올 경우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이 삼성과 애플 등 모든 기업에 적용될 것임을 분명히 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이와 관련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의 가장 큰 취약점이 해외 생산, 특히 반도체의 해외 생산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이 아이폰의 생산거점을 인도로 옮기려는 조치에 대해선 "(애플 공장이) 인도로 가는 건 문제 없지만 그럴 경우 애플이 관세 없이 미국에서 판매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그러면서 "그들(기업)이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면 관세는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애플은 아이폰을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긴장이 고조되면서 인도로 생산 기지를 다변화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각 교역 대상국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 대상 품목에서 반도체와 스마트폰·노트북 등은 제외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25% 관세가 현실화하면, 삼성전자를 포함한 스마트폰 제조사는 물론 미국 소비자들에게도 상당한 부담이 될 전망이다.

시장에선 삼성전자 등 주요 글로벌 제조업체까지 관세 대상에 포함하면서 미·중 무역 갈등의 불똥이 스마트폰 산업 전반으로 번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과 소비자 가격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대로 애플이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할 경우, 대당 약 1000달러인 아이폰 가격이 3배 이상 오를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