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성의 RE:스페이스] 연신내 이어 신길까지…서울 역세권 공공주택 공급 본격화

신길2구역 사진LH제공
신길2구역 [사진=LH]
주거 수요가 높은 역세권 일대 노후 주거지를 공공이 정비해 공급하는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이 최근 잇달아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사업성 개선 노력에 힘입어 연신내역 등 일부 사업지에서 민간사업자의 호응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업자 선정을 앞둔 영등포구 신길2구역 등 후속 사업지 역시 개발 청사진을 확정 짓고 속속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는 상황이다.
 
17일 영등포구와 서울시는 영등포구 신길2구역을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방식으로 개발해 1300여 가구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영등포구 신길동 205-136번지 일대(6만704㎡)에 용적률 300%를 적용한 최고 45층, 총 18개 동의 아파트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공공분양 905가구 등 총 1332가구가 공급된다. 서울시와 구청은 이르면 내년 중 사업 착공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사업지는 30년 이상 노후주택 밀집 지역으로 민간 재개발 추진이 어려운 지역 중 하나로 꼽혀왔다. 이미 지난 2008년 뉴타운으로 지정됐지만, 경기 침체 여파로 2014년 정비구역에서 해제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지로 신길2구역을 선정하면서, 사업 추진에 속도가 날 것이라는 전망이 확대되고 있다. 도심복합사업은 기존 민간 사업으로는 개발이 어려운 역세권 및 준공업지역의 저층 주거지 등을 공공 주도로 신속 개발하는 방식이다.
 
영등포구청 정비사업 관계자는 “신길2구역은 4개 구역 중 주민들의 호응도가 비교적 높아 사업 속도가 가장 빠르다”며 “일반적으로 유사 사업장의 정비사업 소요 기간은 15년 안팎이지만 2021년 후보지 선정 후 추진 속도가 최근 더욱 빨라지고 있다. 절차 단축을 거쳐 예정대로라면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이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신길2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조감도 사진서울시
신길2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조감도. [사진=서울시]
인근 신길1구역도 구청이 이달 초 공공재개발 사업시행자로 LH를 지정·고시하면서 본격적인 사업 추진이 이뤄질 예정이다. 최고 45층, 1483가구와 부대복리시설이 2031년까지 건설될 예정으로, 인근 신길뉴타운 사업과 함께 주거 개선 측면에서 더욱 큰 상승효과가 날 전망이다.
 
특히 최근 동북권 역세권 일대와 은평구 연신내역의 시공사 선정 과정이 순항을 이어가면서 신길2구역과 은평구 증산4구역, 쌍문역 서측 일대 사업도 사업자 선정이 비교적 무난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LH는 지난달 초 이들 사업지에 대한 시공사 선정 공모 사전 예고를 진행한 바 있다.
 
앞서 우선 시공사 선정에 나선 쌍문역 동측과 방학역의 경우, 두산건설이 단독으로 참여해 우선협상권을 확보한 상태다. 연신내역 일대 8250㎡ 규모 부지에 공공분양 246가구 등 총 392가구의 주상복합 단지를 건설하는 ‘연신내역 도심복합사업’도 최근 LH가 공모 심사를 통해 금호건설 컨소시엄과 보미건설을 각각 1, 2위 후보로 선정하고 내달 중 우선협상대상자를 가릴 전망이다.
 
특히 연신내역 사업의 경우, 최근 LH가 2차례에 걸쳐 기존 사업비를 당초 대비 15% 올린 2244억원으로 책정함에 따라 지난 3차 공모에서는 금호건설 컨소시엄과 보미건설, 계룡건설산업, 우미건설, 남광토건 5개 업체가 응찰에 나서기도 했다. 최근 도심복합사업 사업비에서 공사비 인상분이 일부 반영되는 기조에 더해 비교적 안정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민간 참여가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아직 구체적인 사업비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신길2구역과 증산4구역, 쌍문역 서측 등 3개 사업지의 사업비도 일부 상승 가능성이 점쳐진다. 업계 관계자는 “공사비는 입찰 업체가 저조하거나 응찰이 없을 경우 재공모 과정에서 해당 업계나 시장 아니면 주민 및 조합에서 일정 의견을 반영해 향후 조정이 일부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 상승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