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종이팩 자원순환 확대…환경부·카카오 등과 MOU

15일 대전 대덕구 한솔제지 대전공장 대회의실에서 열린 종이팩 택배회수 시범사업 업무협약식에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카카오 우영규 대외협력성과리더 매일유업 고정수 부사장 환경부 김완섭 장관 한솔제지 한경록 대표이사 CJ대한통운 윤진 한국사업부문 대표 사진CJ대한통운
15일 대전 대덕구 한솔제지 대전공장 대회의실에서 열린 종이팩 택배회수 시범사업 업무협약식에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우영규 카카오 대외협력성과리더, 고정수 매일유업 부사장, 김완섭 환경부 장관, 한경록 한솔제지 대표이사, 윤진 CJ대한통운 한국사업부문 대표. [사진=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이 15일 대전 대덕구 한솔제지 대전공장에서 환경부·카카오·매일유업·한솔제지와 '온라인 플랫폼 활용 종이팩 택배회수 시범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전국 가정에서 나오는 종이팩·멸균팩을 CJ대한통운 주 7일 배송 서비스인 '오네(O-NE)'를 활용해 수거한 뒤 재활용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종이팩, 특히 멸균팩은 고급 펄프 자원임에도 분리 배출하기 어려운 점 등으로 인해 재활용률이 낮다. 두 품목 모두 일반 종이류와 분리해 전용 수거함에 배출해야 하지만 이런 내용이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수거함이 설치되지 않은 곳도 많기 때문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종이팩 재활용률은 13%에 머문다. 매일 수거가 가능해지면 재활용률이 대폭 높아질 것으로 참여 업체들은 기대하고 있다.

참여 방법도 간단하다. 종이팩을 박스에 담아 문 앞에 두고, 카카오메이커스 애플리케이션에서 수거를 신청하면 CJ대한통운 배송기사가 방문해 회수한다. 누적 수량이 많아질수록 쿠폰이나 유제품 등 리워드도 제공한다. 참여 희망자는 19일 오후 5시부터 카카오메이커스 앱에서 신청할 수 있다. 


윤진 CJ대한통운 한국사업부문 대표는 "누구나 쉽게 생활 속 자원 순환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와 협력해 환경·공동체를 위한 물류 가치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