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공립수목원 조성 계획…잇따른 예산 삭감에 시작부터 난항

  • 식물보전·산림휴양 등 도심 숲…예산 2억7000만원 부결

고양시청 전경 사진고양시
고양시청 전경 [사진=고양시]
고양특례시 공립수목원 조성 사업이 연이은 예산 삭감으로 첫걸음도 떼지 못하고 있다.
 
15일 고양시에 따르면 ‘고양시 공립수목원 기본구상 및 타당성 검토 용역’ 예산 2억7000만원은 제2회 추가경정예산과 올해 본예산, 제1회 추경 등 총 세 차례에 걸쳐 모두 부결됐다.
 
수목원 조성을 위해서는 지역주민 의견 청취, 관계기관 협의, 조성예정지 지정, 인·허가 및 토지 보상·수용, 조성계획 승인, 착공, 등록까지 약 6년 이상의 중장기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고양시는 북한산, 고봉산, 황룡산 등 다양한 생태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시는 매년 100ha 이상의 조림사업, 숲가꾸기 등을 추진하고 나무심기 행사를 통해 다양한 수종을 식재하는 등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이를 연구할 수 있는 공간은 부족한 실정이다.
 
고양시는 1000종 이상의 수목과 증식 및 재배시설·관리시설·전시시설·편의시설 등을 갖춘 100ha 내외의 수목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연구공간이 마련되면 그간 가꿔온 식물유전자원을 활용한 체계적, 전문적 연구가 가능해진다.
 
특히 국내외 수목원과 공동연구는 물론 자원 교환, 전시, 정보교류 등 다방면에서 상호협력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화훼산업도시의 특성을 살리고 창릉천, 공릉천 등 수변자원과 연계하는 등 특색 있고 차별화된 수목원을 조성해 산림휴양 수요에 대응하는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2022년 환경부 통합하천사업에 선정된 창릉천은 지난해 기본계획 및 타당성조사 용역을 완료했고, 공릉천도 지난해 경기도 저탄소 수변공원화 공모사업에 선정돼 지난달 실시설계에 착수한 상태다.
 
또한 도시숲을 활용한 수목원은 어린이 숲해설, 목재문화체험 등 체험·교육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는 생태관광의 장 역할을 한다. 기후변화에 대응해 미세먼지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산림청에 따르면 나무 한 그루의 연간 미세먼지 흡수량은 35g으로 도시숲 1ha를 조성하면 168kg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경기도 내에는 공립수목원 10곳이 운영 중으로 이 중 8곳은 경기 남부에 자리하고 있다. 경기도에서 운영 중인 수목원 2곳은 오산시와 안산시에 위치해 있고 수원시에만 2곳이 운영 중이다. 고양시에 공립수목원이 조성된다면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진 경기 북부의 녹색 허브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고양시 관계자는 “시민들에게 자연친화적이고 차별화된 산림문화·휴양시설을 제공하기 위해 조성 대상지를 다각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올해 2회 추경에 기본구상 및 타당성 검토 예산을 재요구해 삶의 질을 높이고 관광자원으로서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수목원 조성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