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로보틱스(WIRobotics)가 충남 천안에 국내외 휴머노이드 및 AI 연구기관들과 함께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위한 첨단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Robot Innovation Hub)'를 개소했다고 15일 밝혔다.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는 웨어러블 로봇 시대를 연 '윔(WIM)', '윔 S(WIM S)'를 통해 '일상 속 로봇'의 패러다임을 바꿔온 위로보틱스가 안전성과 혁신성, 유연성을 갖춘 '휴머노이드'를 구현하고, 로봇 오픈 이노베이션의 중추가 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한국기술교육대학교와 공동 개소한 연구센터다.
본격적인 휴머노이드 시대를 준비해 온 위로보틱스는 기존 기술의 조합만으로는 로봇 개발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파악하고, 근본적으로 새로운 요소품, 메커니즘, 모션플래닝, 제어방식, 머신러닝 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한 허브로서 기능할 수 있는 센터를 준비해 왔다.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를 통해 위로보틱스는 기존 로봇 컴포넌트와 제어 기술의 단순한 조합을 넘어, 새로운 개념의 구동기·메커니즘·센서·제어 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인간 수준의 능숙함, 유연성과 안전성을 확보한 차세대 휴머노이드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다.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는 인공지능(AI)와 로보틱스의 폭발적 시너지를 창출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 글로벌 로봇 업계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성공을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에 접목하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으나, 물리적 상호작용의 한계, 데이터 부족, 시뮬레이션-현실 전이(SIM-to-Real Gap) 등의 어려움에 봉착했다. 위로보틱스의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는 물리적 지능(physical intelligence)에 적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로봇 하드웨어를 개발하고, 정확하고 확장된 물리적 데이터 수집 방식을 제안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융합하는 머신러닝을 구현함으로써 AI와 휴머노이드의 시너지 창출을 견인할 예정이다.
위로보틱스는 궁극적으로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를 통해 '인간과 안전하게 공존할 수 있는' 혁신적 범용 휴머노이드를 구현함으로써,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노동의 구속에서 벗어나 더욱 인간이 중심이 되는 사회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위로보틱스 휴머노이드의 최종 목표는 인간 수준의 능숙함과 유연성, 자율적 판단 능력을 갖춘 범용 로봇 개발이다. 이를 통해 가사·돌봄·실버케어·음식점·카페·물류센터·배송·공장조립 등 전방위적 확장을 정조준한다.
위로보틱스의 혁신적 휴머노이드 플랫폼 개발을 위한 인재 영입을 진행 중이다. 위로보틱스는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의 도약을 위해 지난해 휴머노이드 로봇 플랫폼 개발 및 고성능 제어 전문가인 조세형 박사를 시작으로, 올해는 국내 유수의 산업용로봇 및 협동 로봇 회사에서 연구소를 총괄했던 휴머노이드 및 협동 로봇 개발 전문가 이광규 연구소장이 합류하며 휴머노이드 개발연구소의 모습을 갖췄다.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는 올해 상반기 중 인간과 유사한 '고자유도 로봇핸드'와 안전하고 역동적인 로봇 팔을 가진 휴머노이드 상체를 공개할 예정이다. 연구용 플랫폼, 휴머노이드 핸드·팔 모듈, 구동기, 리더시스템 등 휴머노이드 전용 프로덕트를 지속적으로 상용화할 계획이다.
김용재 위로보틱스 공동대표(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는 "이제 로봇은 자동차, 스마트폰과 함께 일상을 혁신하는 '키플레이어'가 될 것"이라며 "위로보틱스는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를 통해 인간의 옆에서 인간을 돕는 수준의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를 주도할 것이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인간중심적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혁신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