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요미우리신문과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무토 요지 경제산업상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합의 내용을 자세히 조사하고자 한다"며 "참고할 만한 부분이 있는지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과 관세 협상을 담당하는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각국 입장과 상황은 제각각이어서 합의 내용과 시기가 다른 것이 자연스럽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시점에서 우리나라(일본) 입장에 변화가 있는 것은 없다"며 앞으로도 모든 관세에 대한 전면 철폐를 요구하겠다는 자세를 고수했다.
미국 정부는 영국산 자동차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연간 10만 대에 한해 기존 25%(최혜국 관세 포함 시 27.5%)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또 영국산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도 조정하기로 했다. 영국은 해당 관세가 철폐될 것이라고 했다.
미국과 영국의 합의 내용을 종합하면 영국에 대한 기본 상호관세 10%는 유지됐고, 자동차·철강·알루미늄 등 품목별 관세 25%는 하향 조정됐다. 영국은 일부 상품에 대한 시장을 개방하고 항공기를 사들이기로 했다.
이 가운데 일본 정부가 특히 주목하는 부분은 자동차 관세다. 미국은 그동안 일본에 상호관세에서 국가별로 차등 적용한 14%만 협의가 가능하다고 했는데 자동차 관세가 협상 의제에 포함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미일 2차 장관급 관세 협상이 열린 이후 진행 중인 실무자 협상에서는 자동차 관세가 논의되고 있다고 요미우리 신문은 전했다.
문제는 일본과 영국이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 물량에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영국은 고급차 위주로 연간 10만 대를 수출하고 있으나, 일본은 약 137만 대를 수출했다.
나아가 지난해 미국과 교역에서 119억 달러(약 16조6000억원) 적자를 기록한 영국이 자동차 관세와 기본 상호관세를 완전히 면제받지 못했다는 사실도 일본에는 큰 부담이다. 일본은 대미 무역흑자가 685억 달러(약 95조8000억원)였다.
일본은 영국보다 훨씬 대담한 '양보'를 해야 할 가능성이 매우 커진 것으로 미국과 일본이 접점을 찾지 못해 협상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견해도 나온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자동차 관세에서 결과를 얻지 못하면 합의는 불가능하다"며 "반년이든 1년이든 협상을 계속할 것"이라고 요미우리에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