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1일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2회 연속 ‘0.5% 정도’로 동결했다. 트럼프발 관세 불확실성 여파에 향후 경제 추이를 지켜본 후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교도통신과 아사히신문 등 일본 매체들에 따르면 일본은행은 이날까지 이틀간 열린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인 단기 정책금리를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일본은행은 지난 1월 하순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단기 정책금리를 ‘0.25% 정도’에서 ‘0.5% 정도’로 인상한 이후, 3월에 이어 이번에도 동결을 선택했다. NHK는 일본은행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조치가 일본의 경제와 물가에 미칠 영향을 신중하게 지켜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 17년 만에 금리 인상으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한 데 이어, 지난해 7월에도 추가 인상을 단행하며 대규모 금융완화 기조에서 탈피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행은 3개월마다 내놓는 '경제·물가 정세 전망' 보고서도 이날 발표했다. 일본은행은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0.6%포인트 하락한 0.5%, 2026년도(2026년 4월∼2027년 3월) GDP 성장률 전망치는 0.3%포인트 내린 0.7%로 제시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2025년도 2.2%, 2026년도 1.7%로 전망했다. 각각 기존 전망치보다 0.2%포인트, 0.3%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경제 (성장) 감속 영향을 반영했다"고 전했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이날 금리 결정 후 기자회견에서 "각국의 무역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며 "우리는 계속해서 편견없이 상황을 평가해서 적절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와 물가가 개선되면 그에 따라 정책 금리도 계속 인상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