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7400억원 투입해 대통령 전용헬기 교체한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조재형 기자
입력 2023-12-29 15: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방사청, 제15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 개최

  • KF-21 탑재 공대공유도탄 국내 개발 추진

지난 9월 15일 인천 팔미도 인근 해상에서 제73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가 열렸다 사진은 해군 대형수송함 마라도함LPH 비행갑판에 탑재된 해군 해상작전헬기 링스Lynx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지난 9월 15일 인천 팔미도 인근 해상에서 '제73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가 열렸다. 사진은 해군 대형수송함 마라도함(LPH) 비행갑판에 탑재된 해군 해상작전헬기 링스(Lynx).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군 당국이 오는 2030년까지 약 7400억원을 투입해 대통령 전용헬기(지휘헬기)를 교체한다. 또 한국형 전투기 KF-21에 탑재될 공대공유도탄이 국내 기술로 개발된다.
 
방위사업청은 29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제15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군은 신규 지휘헬기를 확보하는 지휘헬기-Ⅱ 사업을 국외 구매 방식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앞서 공군은 노무현 정부 후반기인 2007년 11월에 현재 운용 중인 대통령 전용헬기를 도입했다. 이 기종은 미국제 시코르스키 S-92를 귀빈용으로 개조한 VH-92다.
 
군 당국은 대통령 전용헬기가 3대만 운용되는 점을 감안해 국내 개발 대신 국외 구매를 추진하기로 했다. 후보기종으로는 △H225M(에어버스) △Bell 525(벨) △AW101(레오나르도) △S-92A+(록히드마틴) 등이 거론된다.
 
군 당국은 이번 방추위를 통해 한국형 전투기 KF-21에 장착될 단거리공대공유도탄 확보 사업을 국내개발 방식으로 추진하기로도 의결했다.
 
방사청은 2035년까지 약 5919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으로 “첨단 무기체계의 국내 개발을 통한 자주국방 능력이 향상되고, KF-21과 연계한 유도탄의 수출 경쟁력 상승효과도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날 방추위에서는 △공대지유도탄(AGM) 최초 양산 사업 계획 △해상작전헬기-Ⅱ 사업추진 기본전략 △UH/HH-60 성능개량사업 체계개발 기본계획도 심의·의결됐다.
 
AGM은 육군의 항공 타격 작전과 공중강습 작전을 수행하는 소형무장헬기(LAH)에 탑재될 공대지유도탄으로 국내에서 양산된다.
 
방사청은 2031년까지 7248억원이 투입되는 AGM 양산 사업이 끝나면 LAH는 적의 기갑·기계화 부대를 격멸하는 육군의 핵심 전력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군 당국은 노후화된 링스 해상작전헬기를 대체할 전력을 해외에서 도입하기 위해 2032년까지 약 2조8700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해상작전헬기 사업의 후보기종으로는 미국 록히드마틴의 MH-60R과 유럽 NH-인더스트리의 NH-90이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