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도 잠실도 이제 40억"...더 뛰는 고가 아파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지연 기자
입력 2021-08-31 1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집값 단기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금융권의 대출 규제, 금리 인상 등으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줄었지만 은마아파트와 잠실 주공아파트5단지 등 주요 재건축단지는 매수세가 꾸준히 이어지며 이번달 신고가 기록을 다시 세웠다. [사진=연합뉴스]


돌고돌아 다시 서울 중심부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금리인상, 대출금지 등 부동산 수요를 억제하기 위한 정부의 규제책이 총동원되면서 시장의 불안감을 더 자극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가격이 오른 지역의 거래를 '차단'하는 땜질식 부동산 정책으로 '강남 불패'를 넘어 '서울 불패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 용산, 잠실 등 주요 입지 아파트 중대형 면적에서 앞자리수가 바뀐 신고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강남구 청담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정부가 서울 주요지역 거래를 꽁꽁 묶어 놓았지만 주변지역의 가격이 전부 급등하면서 결국 한강변, 역세권 등 입지 여건이 뛰어난 아파트로 관심이 다시 쏠리고 있다"면서 "규제뿐 아니라 이로 인해 공급이 멈추면서 희소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형 개발 호재가 집중된 용산에서는 매월 억소리 나는 릴레이 가격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용산 LG한강자이 전용 253㎡는 지난 2일 45억원에 실거래가 되면서 직전 거래가(34억1000만원·5월)보다 10억9000만원이나 급등했다. 용산 현대하이페리온 2차 전용 227㎡는 지난 7일 42억5000만원에 최고가 거래되면서 직전 거래가(37억원·지난해 11월)대비 5억5000만원 올랐다.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 8차 전용 210㎡도 지난달 66억원에 최고가 거래되면서 한꺼번에 18억2000만원이나 상승했다. 지난해 7월 거래된 최고가는 47억8000만원이었다. 청담동 청담자이 전용 89㎡도 지난 4일 40억원에 신고가 거래되면서 직전 거래가(5월·35억원)보다 5억원이나 올랐다. 같은달 대치아이파크 전용 119㎡도 37억원에 거래돼 최근 거래가인 33억5000만원(4월)보다 3억5000만원이나 상승했다.

토지거래허가제를 빗겨간 잠실 파크리오에서도 무더기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다. 이 아파트 전용 144㎡는 지난 6월 25억8000만원에서 지난달 28억7500만원으로 신고가를 새로 쓴 뒤 지난 5일에는 29억6500만원에 거래되며 3개월 만에 4억원 가까이 급등했다. 전용 59㎡와 84㎡도 최근 각각 19억1000만원(8월 17일), 24억2000만원(7월 12일)에 최고가 거래되며 한달 만에 각각 1억2000만원 올랐다,

착공에 들어간 진미크(진주·미성·크로바) 입주권 호가는 연일 급등하고 있다. 진미크 전용 148~156㎡ 입주권 호가는 지난달 40억원선에서 현재 42억~45억원 선으로 상승했다는 게 인근 중개업소들의 공통된 전언이다. 이들 단지는 재건축 조합원 지위 양도 제한 단지로 10년 이상 소유하고 5년 이상 실거주를 했거나 해외 이주 등의 사유가 있는 경우만 거래가 가능하다.

잠실 J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잠실이 토지거래허가제로 묶이면서 거래가 가능한 웬만한 지역 가격이 다 오르다 보니 진미크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인식이 많았다"면서 "결국 대단지, 신축프리미엄, 입지 등 3박자를 갖춘 알짜 지역으로 수요가 집중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진미크는 원래 중대형 면적이 많아 '잠실 중의 잠실'로 꼽히던 지역"이라며 "진주아파트 전용 148㎡의 경우 지난 주말 42억원에 거래 대기자가 있었는데 소유자가 마지막에 마음을 바꾸는 바람에 계약이 깨졌다"고 귀띔했다.

시장에서는 정부의 다급함이 오히려 수요자들의 매수를 부추기고 있다고 본다. LTV(주택담보대출비율) 규제, 대출제한, 금리인상 등 '백화점식 규제'로 부동산 구매 환경은 훨씬 열악해졌지만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은 더 강해졌다는 분석이다. 

익명을 요구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통상 서울 아파트값은 강남이 먼저 오르고 파생적·순차적으로 강북이 오르는 패턴을 보인 후 수도권, 전국구 등으로 오랜 기간 상승이 이어졌다"면서 "정부가 내놓을 수 있는 규제를 이미 다 동원했는데도 가격 안정에 실패하면서 사람들에게 '수도권 불패' 인식만 더 강하게 심어줬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