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산하는 지속가능금융] 기후·녹색금융...금융 패러다임이 바뀐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서대웅 기자
입력 2021-06-02 0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자료=예금보험공사]


글로벌 주요 은행들이 탄소 배출 기업에 대한 대출을 조이는 등 '지속가능금융'이 전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최근 예금보험공사가 발간한 금융리스크리뷰(제18권 제1호)에 따르면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약 1조2000억 달러(1331조원)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만 2018년의 3배 수준인 5500억 달러가 발행됐다.

ESG채권은 지속가능금융이 가장 활성화된 분야다. 지속가능금융이란 '지속가능발전'에 도움이 되는 분야에 자금배분이 이뤄지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20개국(G20)은 2016년부터 '지속가능금융 스터디그룹'을 구성해 지속가능금융을 유엔의 SDGs(지속가능발전 목표)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금융서비스·상품·프로세스로 정의했다. 환경·사회 등 발전을 끌어낼 수 있는 금융활동을 활발히 하라는 의미다. ESG채권 발행은 이러한 배경에서 확대돼 왔다.

지속가능금융이 강조되면서 글로벌 주요 은행들은 대출 전략을 바꾸고 있다. 지구 온난화 방지 및 탄소 배출량 절감을 주요 대출전략으로 삼는 추세다. 석탄기업에 대출을 중단하고 친환경 기업에 대출할당을 늘리는 식이다. 미국 JP모간이 지난해 10월 이러한 방침을 공식화했다. 영국 대표 은행인 스코틀랜드왕립은행(RBS)은 지난해 2월 화석연료 기업에 대한 대출기준을 강화하고, 2030년까지 대출을 중단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러한 글로벌 은행들의 대출전략 선회는 단순히 '착한 금융'을 지향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지속가능금융을 실천하지 않을 때 향후 리스크가 될 수 있다는 현실적인 우려가 크게 작용했다. 고탄소 의존 사업모델을 가진 회사의 자산가치가 하락하면 금융회사 대출 및 투자손실 리스크도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주요 국가가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꾀하면서 고탄소 모델 회사의 입지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환경 리스크가 금융회사로선 현실적 문제로 다가온 셈이다.

실제로 유럽연합에서는 이러한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해 은행이 원유, 가스, 석탄기업 등 화석연료사업에 대한 신용위험 익스포저에 부여하는 위험가중치를 상향 조정하자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

국내 금융회사들도 지속가능금융 패러다임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있다. 특히 무역의존도가 높은 국내 산업구조 특성상 탄소중립이 향후 금융리스크로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다른 국가들보다 높은 편이다.

KB금융그룹은 지난해 9월 'KB그린웨이 2030' 전략의 일환으로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관련 신규 프로젝트파이낸싱 및 채권인수 사업 참여를 전면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우리금융그룹은 '2019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서 유엔 SDGs와 연계해 포용적 금융, 미래세대 육성, 취약계층 지원, 환경보존을 로드맵으로 금융의 사회적 책임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신한금융그룹은 '친환경 경영 ECO' 전략 추진을 통해 투자자산의 탄소배출량을 측정해 탄소 다량배출 기업 및 산업에 대한 대출과 투자를 줄이고 친환경 분야 금융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