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휴진' 두고 점점 커지는 의료계 내부 목소리…"국민 공감 못 얻는 싸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환욱 기자
입력 2020-09-02 18:1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공익에 부합하는지 의문"…"이제는 진료현장으로 돌아와야"

전공의·전임의가 나선 집단휴진이 장기화하면서 의료계 내부에서 반발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특히 집단휴진을 이끄는, 의사 대표 조직인 대한의사협회(의협)와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가 무리한 주장을 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2일 집단휴진에 반대하는 의대생·전공의가 운영하는 페이스북 페이지 '다른 생각을 가진 의대생·전공의' 운영자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공익성이 없는 미약한 명분에 비해 너무나도 과도한 방식으로 파업을 강행하면서 시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기 때문에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운영자는 "파업 주도집단의 핵심 주장은 어떠한 방식의 의대 증원도 반대하고, 결국 수가 조정이나 병원 설립 등 의사의 수입에 긍정적 영향을 줄 만한 정책만을 허락한다는 것"이라며 "공익에 부합하는지 의문이 든다"고 일갈했다.

이날 한 현직 전문의가 의협·대전협을 비판하는 발언을 내놓기도 했다. 성형외과 원장인 이주혁씨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공공의대 법안에 대한 공청회나 토의를 안 한 것도 아니다. 부지기수로 했다"며 "의협에선 이 법안이 싫었고 계속 반대만 내왔기 때문에 논의 테이블에서 협상이 전혀 진척이 안 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래놓고 이제 와서 '왜 정부 독자적으로 밀실 처리해서 밀어붙이느냐'고 하면 정부와 여타 단체들을 설득할 수 있겠나"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 대한간호사협회 등 의료계 단체들도 성명을 내고 집단휴진을 철회하고 병원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했다.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은 이날 성명을 내고 "의료파업은 그 중심이 전공의들의 집단파업으로 옮겨지면서 걷잡을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며 "이제는 진료 현장으로 돌아와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많은 의사들이 경제적 동기로 진로를 결정하지만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정책수단은 전무한 것이 대한민국 의료의 현주소"라며 "우리나라 의료의 상업화와 왜곡을 일부라도 완화시키는 수단은 의료의 공공성 확보이며, 그 구체적 실현은 공공병원의 확충"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대한간호사협회(간협)는 지난 27일 성명을 내고 "코로나19 재확산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의료현장을 떠난 것은 윤리적 의무를 저버린 행위"라며 "의료인의 윤리적 책임을 저버리는 진료 거부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간협은 "간호사들이 의료현장에서 바라볼 때 의대 정원 증원은 당연하다"며 "의료계는 우리나라의 의료이용량이 OECD 평균의 두 배인데, 의사 수는 OECD 국가 중 꼴찌라는 사실에 주목하고 의사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국회가 의대정원 확대 등을 놓고 의료계와 대화를 시도하면서 국회의 중재로 정부-의료계 간 갈등이 풀릴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전날 여야 의원들은 대전협·의협을 각각 방문, 의료 정책에 대한 재논의를 시사한 바 있다. 정부는 국회 주도 대화의 결과를 지켜보겠다는 반응이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국회가 나서 전공의협의회나 의사협회와 함께 논의하고 있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그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의사협회가 9월 7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한 가운데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등 환자단체 회원들이 지난달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사들의 집단 행동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