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NA] 홍콩주재 일본계 기업, 실적개선 조짐... 2분기 조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야스다 유우지 기자/ [번역] 이경 기자
입력 2020-07-16 11:2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Chi Lok TSANG on Unsplash]


일본무역진흥기구(제트로) 홍콩사무소 등은 15일, 홍콩에 거점을 두고 있는 일본계 기업 중, 2분기 실적이 1분기보다 개선된 기업이 22.6%로 나타나, 전 분기보다 13.8% 포인트 확대되었다고 밝혔다. 홍콩과 중국 본토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신규 감염자 수가 감소됨에 따라, 국내외 수요가 일정 정도 회복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6월 말에 제정된 홍콩국가안전유지법(이하 홍콩안전법)에 대해서는 80% 이상의 기업이 우려를 표시했다.

제트로 홍콩사무소와 주 홍콩 일본총영사관, 홍콩일본인상공회의소가 공동으로 이번 조사를 실시했다. 7월 2~8일, 홍콩일본인상공회의소의 정회원(515개사)과 홍콩일본요리점협회 회원(48개사), 홍콩화교회 회원(35개사) 등 총 598개사에 설문조사를 실시, 304개사가 조사에 응했다.(유효응답률 50.8%).

2월 실적에 대해, '개선됐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승한 반면, '악화됐다', '크게 악화됐다'를 합친 비율은 48.1%로, 전 분기보다 17.4% 포인트 축소됐다.

실적개선 이유(중복응답)에 관해서는 '홍콩 시장의 매출 증가'가 52.3%로 가장 많았으며, '중국 본토에 대한 수출확대로 매출 증가'(31.8%)가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실적악화 이유에 대해서는 '홍콩 시장의 매출 감소'가 47.8%로 가장 많았다. 취급품목과 서비스에 따라 판매실적의 명암이 갈린 것으로 보인다.

주요 8개 업종의 동향을 살펴보면, '개선'으로 답한 기업은 '운수⋅창고'가 40.8%(전 분기 대비 25.4% 포인트 확대), '음식⋅소매'가 45.4%(34.3% 포인트 확대)에 달했다. 운수⋅창고는 화물 취급량 회복, 음식⋅소매는 시민들의 외출증가가 개선요인으로 보인다.

한편 '악화' 또는 '대폭 악화'의 비율이 높았던 업종은 '정밀 및 전기⋅전자기기'(70%), '정보통신 및 미디어⋅광고'(62.4%). 신종 코로나 감염 방지대책으로 입경제한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호텔⋅관광'은 100%가 '대폭 악화'라고 응답했다.

실적악화 요인으로 '신종 코로나', '무역마찰 등 미중대립', '중국의 경기침체', '시위활동' 등 4개 항목에 순위를 매긴 결과, 신종 코로나를 1위로 선택한 기업이 87.1%에 달했다. 미중대립은 5.8%, 중국의 경기침체는 5.0%, 시위활동은 2.1%에 그쳐, 대부분의 기업이 신종 코로나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실적 전망에 대해서는 2분기보다도 '악화'(26.9%) 또는 '대폭 악화'(6.0%)한다가 32.9%, '보합'이라는 응답은 44.5%로 나타나, 실적 악화 추세가 완화될 것으로 보고 있는 기업이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

■ 홍콩 거점에 대해 '검토'가 20%
아울러 홍콩안전법 제정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다'(32.7%) 또는 '우려하고 있다'(48.7%)는 응답은 총 81.4%에 달했다. '별로 우려하고 있지 않다'는 12.7%, '전혀 우려하고 있지 않다'는 1.0%에 그쳤다.

법제정의 영향에 대해 59.4%가 '현 시점에는 알 수 없다', 31.4%가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응답했다. '영향이 없을 것이다'는 8.3%, '긍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1.0%였다.

홍콩안전법을 우려하고 있는 이유(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정보가 제한될 우려가 있다'가 70.5%로 가장 많았으며, '홍콩의 법의 지배, 사법독립이 침해될 우려가 있다'(62.4%), '미국의 제재조치 및 미중관계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61.5%), '국제금융센터 지위에 변화가 생길 우려가 있다'(59.5%)가 그 뒤를 이었다.

정부에 대한 시위활동 등 일련의 홍콩 정세를 감안해, 홍콩 거점의 향후 활용방식에 관한 방침에 대해서는 35.1%가 '변함없다'고 응답했다. 한편 22.2%가 '향후 검토할 가능성 있다'고 답했으며, '홍콩 거점 규모 축소'는 9.6%, '총괄거점 기능 재검토'는 3.6%, '홍콩에서 철수'는 1.3%. 사업 이전 지역 후보로는 중국 본토, 싱가포르, 동남아시아, 일본 등이 거론됐다.

홍콩의 비지니스 환경의 우수성(복수응답)에 대해서는 '간소한 세제, 낮은 세율'(61.5%)이 가장 많았다. 중국 광둥성, 홍콩, 마카오를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는 구상인 '웨강아오 다완취(粤港澳大湾区)'에 참여라고 응답한 기업도 34.7%에 달해, 비지니스 기회를 엿보고 있는 기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출입경 제한 영향 이어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확산 방지 대책에 따른 일상 업무상의 우려(복수응답)에 대해서는 96.1%의 기업이 '홍콩의 출입경 제한'을 꼽았다. 이어 '일본의 출입국 제한'(83.9%), '고객방문 등 영업활동 제한'(61.5%)의 순이었다.

신종 코로나로 인한 주재원 부임 등의 영향에 대해서는 일본에 일시 귀국 후, 홍콩에 복귀하지 못한 주재원의 가족이 있는 기업이 응답기업의 약 10%에 해당하는 36개사가 있었다. 홍콩에 신규 또는 교대로 부임하지 못한 주재원이 있는 기업도 26개사가 있었다.

업무상 곤란을 겪는 것으로는 '출입경 제한에 따른 해외고객에 대한 방문기회, 영업활동 감소', '고객인 일본계 기업이 홍콩에서 철수, 규모축소', '홍콩의 전반적인 동기부여 저하, 부정적 이미지' 등이 눈에 띄었다.

향후 경영상의 과제(복수응답)는 '매출 감소'가 77.6%로 가장 많았으며, '영업규모 축소'(37.8%)가 그 뒤를 이었다.

홍콩 정부의 경기부흥책 중 도움이 된 것으로는 75.5%가 임금보조금 제도를 꼽았다. 향후 필요한 대책으로는 임금보조금 제도 유지 및 임대료 보조금 제도의 신설을 희망하는 의견이 많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