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Corona, First Korea!] 대한민국의 변화상 ⑥ 코로나로 온실가스 줄었지만...향후 지속 여부가 관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경태 기자
입력 2020-06-03 00: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인류 발 묶은 코로나19, 원래 모습의 자연 인류에 선사

  • 위기에 '반짝' 환경 관심...증가세 이어가는 이산화탄소

코로나19 영향으로 30년 만에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히말라야 산맥. [트위터 캡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적인 대유행(팬데믹·pandemic)으로 자리 잡으면서 세계 경제가 대부분 얼어붙었다. 공장도 멈춰 섰다. 운행되는 차량도 눈에 띄게 줄었다. 글로벌 감염 확대를 초래한 항공기도 공항에서 발이 묶였다. 관광객으로 붐볐던 전 세계 유명 도시들은 유령도시가 돼 버렸다.

인간의 상당수 활동이 멈춰서자 예상하지 못했던 반전이 일어났다. 국가 봉쇄령이 내려졌던 인도에서는 공장 가동이 중단되면서 160㎞ 밖에서도 눈 내린 히말라야산맥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게 됐다. 세계 최악의 대기오염에 시달려 왔던 인도 뉴델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밤하늘에서 오리온 등 별자리를 볼 수 있게 됐다. 미세먼지로 위성사진을 황갈색으로 물들여 놓았던 중국은 공장이 멈추면서 깨끗한 대기 사진을 보여줬다.

코로나19가 인류의 발을 묶어 놓은 대신 원래 모습의 자연을 인류에게 선사한 것이다.

국내에서도 코로나19가 확산한 이후 상당한 변화가 나타났다.

지난 3월 한국교통연구원이 발표한 '2020 코로나19의 교통 부문 영향분석 및 대응 방향' 보고서를 보면, 지난 3월 1주 차 고속도로 일평균 교통량은 371만대 수준으로 감소했다.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11만대가 줄어든 규모다.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인 1월 5주 차부터 고속도로 교통량이 줄어들다 확진자가 급증했던 2월 4주 차부터는 교통량이 급격하게 축소됐다.

그 영향에 곧바로 미세먼지가 줄었다. 지난 4월 1일 환경부가 내놓은 미세먼지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3월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는 21μg/㎥ 수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농도인 39μg/㎥보다 18μg/㎥나 감소했다.

다만, 코로나19가 종식된 이후에도 이런 환경을 유지해 나갈 수 있을지 의문이다.

2일 대기 온실가스 증가 속도를 늦추기 위해 구성된 국제 과학 공동 협의체인 글로벌 카본 프로젝트(Global Carbon Project, 이하 GCP)에 따르면, 글로벌 경제 위기 때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다소 줄어들었으나 이후 지속해서 증가추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일일 화석 이산화탄소 배출량[그래프=글로벌 카본 프로젝트 제공]



1973년 1차 석유파동, 1979년 2차 석유파동,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2008년 세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위기가 이어지면서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잠시 주춤했을 뿐이라는 게 GCP의 설명이다. GCP는 올해 하반기부터는 기존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복귀해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위기 속에서 자연이 외치는 경고가 연이어 묵살되면서 환경 파괴나 지구 온난화는 향후 더욱 가속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진다.

이런 상황에 대해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지난 4월 화상 회의로 열린 제11차 ‘피터스버그 기후각료회의’에 참석해 "한국이 다른 여러 나라처럼 코로나19 위기를 녹색 전환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위기에서 나타난 환경의 변화가 건넨 교훈을 잊지 말고 더 늦기 전에 대책을 내놓고 실천으로 옮겨야 한다는 의지가 담긴 말이다.

그래도 갈 길은 멀다.

내년부터 제3차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돼 코로나19에 따른 유럽 등 각국의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도 변화가 예상되기도 한다. 하지만, 국가별로 당장 경기 부양에 힘써야 하는 만큼 배출량 증가는 예고된 상황이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성장 정책을 펼치는 국가들이 탄소를 줄이지 않고 공장을 더 가동하겠다는 의지로도 해석되고 있어 근본적인 해결안을 만들어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지언 환경운동연합 에너지 기후 국장은 "경제 위기가 왔을 때 또다시 여러 소비를 진작시키고 하면서 결국 환경문제는 해결하지 못한 게 사실"이라며 "그린 뉴딜 등 환경과 관련된 정책을 내놓는다고 하더라도 정작 기업의 환경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방향으로 진행되다 보니 진정한 그린 정책을 펼치지 못해 또 다른 환경 변화의 역습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