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영토 포사격 최초...북한 주요 도발 사례는?

(아주경제 김희준 기자) 북한이 23일 서해 연평도 인근에 수십 발의 해안포를 발사해 해병대 1명이 사망하고 연평도 주민들이 대피하는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북한은 서해상에서 천안함 사건을 비롯해 1ㆍ2차 연평해전 및 대청해전이 일어났지만 우리 영토인 연평도에 포사격 도발이 발생한 것은 처음이다.

다음은 1996년 이후 북한의 주요 도발 사례.

    ▲1996.4.4= 북한, 군사분계선(MDL) 및 비무장지대(DMZ) 임무포기 선언
    ▲ 〃 4.5~7= JSA(공동경비구역) 무장병력 초과투입(200-300명).중화기 반입
    ▲ 〃 9.18= 북 잠수함 강릉 앞바다 좌초(26명 탑승)
    ▲1997.10.17= 북한 무장군인 12명 대성동 주민 2명 납치
    ▲1998.2. 2= JSA 북한군 1명 2회 MDL 월경
    ▲ 〃 3.12= 북한군 12명 MDL 40∼50m 월경(아군 경고사격 20여발)
    ▲ 〃 6.11= 북한군 GP(경계초소)서 아군 GP 방향 자동소총 4발 발사
    ▲ 〃 6.22= 속초 동방 11.5마일 해상서 북한 유고급 잠수정 1척(사체9구)발견
    ▲ 〃 7.12= 동해시 해안서 무장간첩 사체 1구, 침투용 수중추진기 1대 발견
    ▲ 〃 12.18= 여수 앞바다 침투 북한 반잠수정 1척 격침
    ▲1999.6.15= 북 경비정 서해 북방한계선(NLL) 월선, 1차 연평해전 발생
    ▲2001.9.19∼20= 북한군 철원군 DMZ서 MDL 월경(아군 경고사격)
    ▲ 〃 11.27= 북한군 파주군 장파리 DMZ서 아군 초소에 기관총 2∼3발 발사
    ▲2002.6.29= 북 경비정 NLL침범, 2차 연평해전 발생
    ▲2003.2.20= 북 미그-29기 1대 연평도 NLL 13㎞ 남하(아군 전투기 대응출격)
    ▲ 〃 7.17= 북한군, 경기 연천 DMZ서 14.5㎜ 기관총 4발 발사(아군 경고사격)
    ▲ 〃 10.30= 북 경비정 NLL 월선(아군 경고사격)
    ▲2004.7.14= 북 경비정 NLL 월선(아군 함포사격)
    ▲ 〃 10.10= 북 잠수함 동해침투 첩보(아군 폭뢰 투하)
    ▲ 〃 10.26= 연천군 GOP 철책선 2곳 절단
    ▲ 〃 11.1 = 북 경비정 3척, 서해 소청도 동방 6.5 마일 및 연평도 서방 25마일 해상 NLL 월선, 해군 경고사격
    ▲2009.9.4=북 경비정 1척, 백령도 동북쪽 10㎞ NLL 월선
    ▲ 〃 11.10= 북 경비정 서해 NLL 침범해 남하하다 함포 50여발 발사. 아군 대응 사격해 교전(대청해전) 발생.

   ▲2010.3.26=백령도 서남방 2.5㎞ 해상에 해군 1천200t급 초계함인 천안함 침몰. 승조원 104명 가운데 58명 구조, 46명 실종.

   ▲ 〃 8.9= 북한군 백령도 북방 해상에 해안포 10여발 발사.

   ▲ 〃 11.23=북한군 연평도에 해안포 공격


h9913@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