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中증시, 관세 불확실성 속 혼조...폭염 속 전력株 급등 7일 중국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앞두고 주요 협상 대상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는 것과 함께 비(非)서방 신흥경제국 연합체인 브릭스(BRICS)를 향해서도 경고 메시지를 보내면서 관세 리스크가 다시 대두된 영향이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0.81포인트(0.02%) 상승한 3473.13, 선전성분지수는 73.25포인트(0.70%) 하락한 1만435.51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CSI300지수는 17.03포인트(0.43%) 내린 3965.17,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26.05포인 2025-07-07 17:19:30
  • [속보] 中증시 혼조 마감…상하이 0.02%↑·선전 0.70%↓ 7일 중국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0.81포인트(0.02%) 상승한 3473.13, 선전성분지수는 73.25포인트(0.70%) 하락한 1만435.51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CSI300지수는 17.03포인트(0.43%) 내린 3965.17,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26.05포인트(1.21%) 밀린 2130.19에 마감했다. 2025-07-07 16:05:57
  • 올해 상하이 외국인 관광객 254만명 '북적'…中 관광시장 회복세 중국 대표 여행지 상하이를 중심으로 올해 중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세를 보이면서 중국 업계가 관광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중국 정부가 외국인 관광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부터 확대해 온 무비자 정책이 무르익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7일 중국 매체 펑파이가 씨트립(중국명 셰청) 데이터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1분기 외국인 관광객의 중국 여행 예약 건수는 전년 대비 2배 증가했다. 상하이·베이징·선전·광저우·청두 등이 외국인이 선호하는 중 2025-07-07 16:03:24
  • "中 인민해방군, '美 지옥도 전략'에 맞서 드론 전담부대 창설 가능성" 중국 인민해방군(PLA)이 외부의 드론 위협에 신속 대응할 수 있는 전담 대(對)드론 전투부대 창설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해방군보는 중국군이 최근 드론의 위협을 중대 안보 현안으로 인식하며 전담 부대 신설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고 7일 보도했다.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 인도·파키스탄 무력 충돌, 이스라엘·이란 간 상호 공습 등에서 드론이 군사력의 핵심 전력으로 부상한 흐름과 맞물린 움직임이다. 특히 미국이 대만 방어를 위해 ‘지옥 2025-07-07 15:12:49
  • 美 관세에 中 동남아 우회 수출 급증…트럼프 1기 패턴 '재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대(對)중국 고율 관세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가 중국의 우회 수출 통로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6일(현지시간) 중국 기업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를 피해 동남아시아를 경유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통계 당국에 따르면 5월 중국의 대미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43% 감소했다. 상품 가치로 환산하면 150억 달러(약 21조원) 규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간 중국의 전체 수 2025-07-07 11:30:36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7일) 7.1506위안...가치 0.04% 상승 7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29위안 내린 7.1506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4%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4292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9545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7688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0.51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07 10:20:17
  • 대만 ETF, 올해 26조 유입되며 亞 증시 최대…韓·中 합친 것보다 많아 개인 투자자의 왕성한 수요와 대만달러(TWD) 강세를 등에 업고 대만 상장지수펀드(ETF)에 자금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 인텔리전스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대만 ETF에는 190억 달러(약 26조 원)가 넘는 자금이 유입됐다. 이는 아시아 지역 내 최다 규모로, 한국과 중국 ETF 자금 유입을 모두 합친 것보다 많은 수준이다. 블룸버그는 이 같은 대규모 자금 유입은 대만 개인 투자자들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짚었다. 실제로 올해 대만 증시에서는 세 2025-07-07 10:01:31
  • '세계 1위' 中조선 자회사 합병 승인…'조선 공룡' 탄생 임박 세계 최대 조선기업인 중국 국영 중국선박그룹유한공사(CSSC) 산하 주요 조선 자회사 2곳의 합병안 심사가 통과되면서 ‘조선업계 공룡’ 탄생이 임박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5일 중국 증권일보와 계면신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중국선박공업주식유한회사(중국선박)는 전날 공시를 통해 중국선박중공주식유한회사(중국중공) 흡수합병 안건이 상하이증권거래소 인수합병심사위원회 심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번 합병은 중국 정부 주도 조선업 구조조정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된 대형 M&A로, 중국선박 2025-07-06 10:27:08
  • [중국 화양'영'화] 홍콩 국가보안법 5주년…영화 속 암울한 미래가 현실로-영화 '10년' #2025년 홍콩에서 중국 푸퉁화(普通話, 중국 표준어)는 이미 광둥어를 대체해 홍콩 공식 언어로 채택됐다. 택시 운전사가 푸퉁화를 구사하지 못하면 기차역·공항은 물론 센트럴·애드미럴티 같은 시내 중심가에서 승객을 태울 수 없다. - 영화 ‘방언’ #2025년 팔에 붉은색 완장을 찬 소년병들이 마치 문화대혁명 홍위병처럼 동네를 순찰한다. 소년병의 손에는 ‘금지어 목록’이 적힌 수첩이 쥐어져 있다. 동네 마트에서 파는 홍콩 현지 생산 달걀에 ‘로컬계란(本地蛋)’이 2025-07-05 06:00:00
  • 中, EU산 브랜디에 최대 34.9% 반덤핑 관세 부과 결정 중국이 유럽연합(EU)산 브랜디에 대해 최대 34.9%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중국 상무부는 4일 홈페이지에 당국의 EU산 브랜디에 대한 반덤핑 조사 최종 판결을 기자와의 문답 형식으로 게시하고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관세율은 27.7%~34.9%이며 시행 기간은 오는 5일부터 5년이다. 상무부는 "법과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며 조사를 실시했다"면서 "이해관계자의 권리를 충분히 보장하며 다양한 당사자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한 결과 덤핑이 존재한다는 판결을 내렸다"고 2025-07-04 16:52:08
  • 中증시, 재료 부재 속 혼조 마감…디지털위안화 관련株 강세 중국 증시 주요 주가지수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새로운 재료 부재 속 관망세가 짙어진 모습이다. 4일 상하이종합지수는 11.17포인트(0.32%) 상승한 3472.32, 선전성분지수는 25.82포인트(0.25%) 하락한 1만508.76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CSI300지수는 14.14포인트(0.36%) 오른 3982.20,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7.85포인트(0.36%) 내린 2156.23에 마감했다. 은행 업종이 강세를 보이면서 상하이푸동발전은행 등 여러 종목이 3% 넘게 상승했다. 디지털 위안화 관련주의 상승세도 두드러졌다. 징베이팡(京北方 2025-07-04 16:33:54
  • [속보] 中증시 혼조 마감…상하이 0.32%↑·CSI300 0.25%↓ 4일 중국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11.17포인트(0.32%) 상승한 3472.32, 선전성분지수는 25.82포인트(0.25%) 하락한 1만508.76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CSI300지수는 14.14포인트(0.36%) 오른 3982.20,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7.85포인트(0.36%) 내린 2156.23에 마감했다. 2025-07-04 16:03:47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4일) 7.1535위안...가치 0.02% 상승 4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12위안 내린 7.1535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2%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4228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9468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7386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0.61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04 10:18:19
  • 中 6대 자동차 업체 상반기 판매량 880만대…유럽 공장 건설도 박차 비야디(BYD)를 비롯한 중국 6대 자동차 제조사들의 상반기 판매량이 900만대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유럽연합(EU)의 관세에 대응해 유럽 현지 공장 건설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3일 중국 매체 펑파이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상위 6대 자동차 제조사의 총 판매량은 879만2900대를 기록했다. 비야디는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214만6000대를 판매해 이번에도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고, 상하이차가 205만3000대를 판매하며 2위를 기록했다. 지리차(140만9000대)와 창안차(135만5000대), 2025-07-03 17:51:49
  • 中증시, 미중 무역긴장 완화에 상승…고체전지株 강세 3일 중국 증시 주요 주가지수는 상승세로 마감했다. 미국과 베트남 간의 무역 협정 체결 소식과 함께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합의 이행 차원에서 대중국 반도체 제재를 일부 완화하면서 양국 간 무역 긴장이 일부 해소된 영향이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6.36포인트(0.18%) 오른 3461.15, 선전성분지수는 121.96포인트(1.17%) 상승한 1만534.58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24.38포인트(0.62%), 40.37포인트(1.90%) 오른 3968.07, 2164.09에 마감했다.​​​​ 자동차 업 2025-07-03 17:26:43
  • [속보] 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 0.18%↑·선전 1.17%↑ 3일 중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6.36포인트(0.18%) 오른 3461.15, 선전성분지수는 121.96포인트(1.17%) 상승한 1만534.58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24.38포인트(0.62%), 40.37포인트(1.90%) 오른 3968.07, 2164.09에 마감했다.​​​​ 2025-07-03 16:08:52
  • 딥시크 쇼크에...中 바이두 검색엔진의 변신 중국 빅테크(대형기술기업) 바이두가 10년만에 자사 검색엔진을 대대적으로 개편한다. 챗GPT, 딥시크 같은 인공지능(AI) 대형 모델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고 알리바바의 AI검색엔진 쿼크 등이 잇달아 업그레이드 되면서 경쟁 압박에 직면한 가운데서다. 3일 중국 제일재경일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바이두는 전날 검색창, 검색결과 페이지부터 검색 생태계까지 10년 만에 검색엔진을 대대적으로 개편한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기존 검색창의 크기를 대폭 확장해 '스마트 박스'로 업그레이드 했다. 검색 텍 2025-07-03 16:04:33
  • 美, 대중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수출 제한 해제…무역합의 이행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과의 무역 합의 이행의 일환으로 중국에 대한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수출 제한을 해제한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상무부는 최근 세계 3대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인 시놉시스와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 독일 지멘스 측에 중국 내 사업을 위해 정부의 수출 허가를 받도록 했던 최근의 요건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다고 통지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기업들의 성명을 인용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멘스는 성명에서 중국 고객들에게 자사 소프트웨어와 기술에 대 2025-07-03 14:2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