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소유 국내주택 10만4000가구…중국인 소유 56.6%

서울 도심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서울 도심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외국인이 국내에서 보유 중인 주택이 약 10만4000가구로 집계됐다.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외국인 토지·주택 보유 통계에 따르면 올 6월 말 기준으로 외국인이 소유한 국내 주택은 10만4065가구로, 지난해 12월 대비 0.15% 늘었다.
 
국내 전체 주택 중 외국인 소유 비중은 0.53%, 주택을 소유한 외국인은 10만2477명을 기록했다.
 
소유 지역은 수도권이 7만5484가구(72.5%), 지방은 2만8581가구(27.5%)로 수도권에 집중됐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4만794가구(39.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2만4186가구(23.2%), 인천 1만504가구(10.1%), 충남 6455가구(6.2%), 부산 3160가구(3.0%) 등 순으로 나타났다.
 
소유자 국적은 중국이 5만8896가구(56.6%)로 절반을 넘겼다. 이어 미국은 2만2455가구(21.6%), 캐나다 6433가구(6.2%), 대만 3392가구(3.3%), 호주 1959가구(1.9%) 등이 뒤를 이었다.
 
주택 유형은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등 공동주택(9만5150가구)이 상당수를 차지했다. 단독주택은 8915가구에 그쳤다.
 
보유 주택 수는 1채가 9만5717명(93.4%)으로 가장 많았고 2채 소유자도 5421명(5.3%), 3채 이상은 1399명(1.3%)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보유 국내 토지 면적은 2억6829만9000㎡로 지난해 말 대비 0.1% 증가해 전체 국토 면적의 0.27%를 차지했다.
 
외국인 보유 토지의 공시지가는 33조9976억원으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1.5% 늘었다.
 
미국인이 전체 외국인 소유 토지의 53.3%를 보유해 국적별 비중이 가장 컸다. 이어 중국(8.0%), 유럽(7.1%), 일본(6.1%) 등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8.5%를 차지했고 전남 14.7%, 경북 13.5% 등도 외국인 보유 면적이 상대적으로 컸다.
 
외국인 보유 토지 용도는 임야, 농지 등 기타용지가 67.7%로 가장 많았다. 그밖에 공장용지가 22.0%, 레저용지는 4.4%, 주거용지는 4.3%였다.
 
토지 보유 외국인 주체별로는 외국 국적 교포가 55.4%, 외국법인 33.6%, 순수 외국인 10.7%, 정부·단체 0.2% 등 순으로 많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