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엡스타인 시한폭탄'이 드디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눈앞에 다가왔다. 미 의회가 엡스타인 사건 문건 공개 의무화 법안을 사실상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가운데 이제 트럼프 대통령 서명만 남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엡스타인 의혹'으로 위기에 처한 틈을 타 민주당 주요 대선 주자들은 본격적으로 지지층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1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이날 미 하원은 엡스타인 법안을 찬성 427표, 반대 1표로 가결했다. 이후 미 상원 역시 해당 법안을 만장일치로 신속히 통과시켰다. 이제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 서명만 남은 상태이며 서명이 이뤄지면 법무부는 관련 문건을 의회에 제출해야 한다.
해당 법안은 미성년자 성범죄 혐의로 기소됐다가 2019년 사망한 고(故) 제프리 엡스타인에 대한 수사 자료를 모두 공개하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이다. 엡스타인은 생전 트럼프 대통령과도 친분을 유지했던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범죄 연루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엡스타인 이메일에는 "내가 그(트럼프 대통령)를 끌어 내릴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라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어 의혹을 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엡스타인 문건 공개 요구를 "민주당의 사기극"이라고 비난해왔다. 그러나 엡스타인 의혹을 둘러싸고 공화당과 그의 핵심 지지층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집단 내 분열이 현실화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입장을 바꿨다. 그는 지난 16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공화당 의원들에게 '엡스타인 법안'에 찬성표를 던지라고 촉구했고 하루 뒤에는 해당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면 자신이 서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엡스타인과 연루됐다는 의혹은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에도 영향을 미쳤다. 로이터통신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의 여론조사(미국 전역 성인 1017명 대상 11월 14~17일 실시, ±3.0%포인트)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38%로 떨어지며 집권 2기 최저치를 기록했다. 엡스타인 의혹과 함께 생활물가 상승이 주요 불만 원인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이 흔들리는 틈을 타 민주당 주요 대권 주자들은 본격적인 지지층 확대에 나섰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지난해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로 트럼프 대통령에게 패배한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은 퇴임 10개월 만에 처음으로 테네시 주의회 보궐선거 지원 유세에 나섰다. 또 다른 민주당 유력 주자인 피트 부티지지 전 교통부 장관은 지난 14일 텍사스에서 열린 텍사스 트리뷴 행사에서 존재감을 드러냈고,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브라질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30)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기후 정책을 비판했다.
한편 한동안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겪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백악관에 깜짝 등장해 약 5개월 만에 트럼프 대통령과 재회했다. AP통신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이날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를 위한 백악관 공식 만찬에 초청받았다. 특히 머스크 CEO의 팔을 트럼프 대통령이 가볍게 두드리는 장면이 포착되면서 두 사람이 관계를 회복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