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하 육군참모총장 "내란 행위 맞서지 못해 국민께 사과"

  • 2035년까지 미래 육군인 '아미 타이거'로 개편

김규하 육군참모총장 사진연합뉴스
김규하 육군참모총장 [사진=연합뉴스]
 
김규하 육군참모총장은 24일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큰 위기 앞에서 잘못된 것을 알면서도 침묵했다”며 “국민께 큰 실망과 깊은 상처를 안겨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국정감사에서 밝혔다.
 
김 총장은 이날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의 육군본부 국정감사 인사말에서 계엄 당시 자신은 미사일전력사령관이었다며 “장성으로서 군을 동원해 대한민국을 위태롭게 한 내란 행위에 맞서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육군 모두가 ‘내란 군’은 아니다”면서 “일부 소수 군 수뇌부와 그에 동조한 인원들에게 책임이 있고 이 외 전 장병은 국민을 보호하는 국군”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김 총장은 불법 계엄에 동조한 자들과 아직 제대로 드러나지 않은 가담 인원들을 선별해 조치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육군은 이어진 업무보고를 통해 2035년까지 주요 부대를 미래 육군 형태인 ‘아미 타이거’(Army TIGER)로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아미 타이거’는 각종 전투 플랫폼에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적용해 전투원의 생존 확률과 전투 효율성을 극대화한 미래형 전투체계를 말한다.
 
아울러 첨단과학기술 기반의 유무인복합전투체계 구축을 위해 2027년까지 대대급 시범부대를 선정해 시험 적용한 후, 2040년까지 AI 기반 지휘통제체계와 드론·로봇의 무인체계를 통합할 방침이다.
 
2027년까지 GOP과학화경계시스템 성능개량, 2030년까지 AI통합관제플랫폼 전력화도 추진한다.
 
육군군수사령부는 사물형인터넷(IoT)을 활용한 스마트 탄약고 전환과 탄약 업무의 디지털화로 2035년에는 모든 탄약부대가 지능형 탄약관리체계를 구축하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창끝부대(근접전투를 담당하는 대대급 이하 소부대)가 전투준비와 교육훈련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다른 임무는 최소화하고 병영시설과 복지시설, 작전·훈련시설을 미래형 복합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