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군이 2040년 중·후반에 미래 전장 환경에 적합한 6세대 전투기를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공군은 23일 충남 계룡시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의 공군본부 국정감사에서 단계적인 인공지능(AI) 기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확보 추진 계획을 보고했다.
계획에 따르면 2030년대 초반 전투기 협업 다목적 무인항공기, 2030년대 중·후반 전투기 협업 무인전투기, 2040년대 중·후반 완전한 차세대(6세대) 전투기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6세대 전투기는 F-16 도태에 대비한 것으로, 진보한 스텔스부터 소형무장, 엔진, 양자통신 등 완전한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고 공군은 보고했다.
공군은 이 밖에도 장기계획으로 장거리정전유도탄 확보 계획, 내년 미 우주국 주관 우주연합연습(슈리버 워게임) 참가 계획, 국내 항공기 정비 능력 확대를 통한 해외정비의 국내 정비 전환 계획 등을 보고했다.
손석락 공군참모총장은 인사말을 통해 "AI 기술 역량 고도화와 AI 파일럿 핵심 기술 확보, 이를 기반으로 한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구축에 노력을 집중하고 우주 전력, 우주 조직, 우주 인력 확보를 단계적으로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손 참모총장은 또 전투기 민가 오폭부터 미국 알래스카 훈련 중 비상탈출까지 올해 여러 사고가 난 데 대해 "임무 중 발생한 일련의 사고들로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렸다"며 "비행사고 재발 방지 종합대책을 강도 높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군은 23일 충남 계룡시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의 공군본부 국정감사에서 단계적인 인공지능(AI) 기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확보 추진 계획을 보고했다.
계획에 따르면 2030년대 초반 전투기 협업 다목적 무인항공기, 2030년대 중·후반 전투기 협업 무인전투기, 2040년대 중·후반 완전한 차세대(6세대) 전투기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6세대 전투기는 F-16 도태에 대비한 것으로, 진보한 스텔스부터 소형무장, 엔진, 양자통신 등 완전한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고 공군은 보고했다.
공군은 이 밖에도 장기계획으로 장거리정전유도탄 확보 계획, 내년 미 우주국 주관 우주연합연습(슈리버 워게임) 참가 계획, 국내 항공기 정비 능력 확대를 통한 해외정비의 국내 정비 전환 계획 등을 보고했다.
손석락 공군참모총장은 인사말을 통해 "AI 기술 역량 고도화와 AI 파일럿 핵심 기술 확보, 이를 기반으로 한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구축에 노력을 집중하고 우주 전력, 우주 조직, 우주 인력 확보를 단계적으로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손 참모총장은 또 전투기 민가 오폭부터 미국 알래스카 훈련 중 비상탈출까지 올해 여러 사고가 난 데 대해 "임무 중 발생한 일련의 사고들로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렸다"며 "비행사고 재발 방지 종합대책을 강도 높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