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18.16포인트(0.47%) 오른 4만6924.74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22포인트(0.00%) 상승한 6735.35,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36.88포인트(0.16%) 내린 2만2953.67에 각각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장중과 종가 기준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기술주는 약세를 보였다.
애플은 이날도 상승세를 이어가며 시가총액 4조 달러 돌파를 눈앞에 뒀다. 아이폰17 판매 호조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애플의 시총은 3조9000억 달러를 기록했다. 애플이 4조 달러를 넘어설 경우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사상 세 번째로 시총 4조 달러 기업이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에 대해 "나는 2주 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날 예정이고 우리는 한국에서 만나 많은 것을 이야기할 것"이라면서도 "어쩌면 (회담이) 성사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발언 이후 기술주가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최근 강세를 이어가던 알파벳은 장중 4% 넘게 밀렸다가 낙폭을 2%대로 줄였고, 엔비디아·브로드컴·테슬라도 1% 안팎 떨어졌다.
장 마감 후 발표된 넷플릭스의 3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며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넷플릭스는 3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5.87달러, 매출은 115억1000만 달러라고 밝혔다. EPS는 금융정보업체 LSEG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다.
넷플릭스는 브라질 세무 당국과의 분쟁 비용으로 인해 영업이익률이 가이던스(31.5%)보다 낮은 28%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넷플릭스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5% 넘게 급락했다.
업종별로는 임의소비재·산업·의료 관련주가 상승했다. 특히 임의소비재는 1% 이상 올랐다.
아마존은 전날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AWS)에서 대규모 장애 사태를 겪은 이후 오히려 2.56% 상승했다. 먹통 사태는 예상보다 많은 기업이 아마존의 AWS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카콜라는 3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4% 급등했다. 제너럴모터스(GM)는 ‘깜짝 실적’을 내면서 15% 급등했고, 방산업체 RTX도 항공우주·방위 부문 실적 전망치를 상향 조정한 뒤 7% 이상 올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2월 기준금리가 50bp(1bp=0.01%포인트) 인하될 확률은 98.7%로 반영됐다. 75bp 인하 확률은 0.2%로 급감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 대비 0.36포인트(1.97%) 내린 17.87을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