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그룹 SM벡셀, 납축전지 기반 ESS 기술력 확보

  • 납축전지 화재 안전·경제성 등 갖춰

  • "리튬이온∙납축전지 기술로 ESS 시장 공략"

보도사진SM그룹 SM벡셀 리튬이온 이어 납축전지 기반 ESS 기술력도 확보jpg
[보도사진]SM그룹 SM벡셀, 리튬이온 이어 납축전지 기반 ESS 기술력도 확보.jpg
SM그룹의 제조부문 계열사 SM벡셀 배터리사업부문은 기존 리튬이온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이어 최근 납축전지를 활용한 장주기 대용량 ESS 기술력도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로써 SM벡셀은 ESS 가동 및 운영과 관련해 리튬이온배터리에 납축전지까지 두 가지 솔루션을 모두 갖추게 돼 국내 배터리 업계는 물론 글로벌 시장 공략도 본격화할 계획이다.

우오현 SM그룹 회장이 제조업 생존의 필수요소로 품질과 기술력, 생산 과정 전반의 혁신을 강조해온 만큼, 향후 회사의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높다.

납축전지는 주로 내연기관용 자동차의 배터리로 쓰이는 2차전지다. 자동차 보닛을 열었을 때 중앙부에 보이는 배터리가 납축전지인데, 이를 적용한 ESS는 안전성과 경제성이 뛰어나면서 재활용이 쉽고 수명이 길어 장주기 운영에 적합하다.

특히 납축전지는 화재 발생 시 이른바 '열 폭주'가 약하고 진화가 용이해 최근 다시 주목 받고 있는 제품군이다.

반면 리튬이온배터리 기반의 ESS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소형화, 경량화에 강점이 있지만 화재 발생과 확산 위험성이 크고 원자재 가격이 비싸다는 점이 한계로 꼽힌다.

이번에 SM벡셀 배터리사업부문이 확보한 기술은 납축전지 전극에 활성탄을 도포해 술폰화납(전극 표면에 쌓이는 황산납 결정) 생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지의 수명을 크게 늘린 것이 특징이다. 이 기술이 적용되면 기존에 약 7년이던 ESS 배터리의 수명이 10년 안팎까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고가인 수입 활성탄 대신 전남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김융암 교수팀의 표면개질(고결정성 활성탄소 소재 합성) 기술을 적용한 바이오매스 활성탄으로 경제성도 갖췄다.

SM벡셀은 이 같은 2차전지 기술력과 노하우로 신규 사업군인 ESS 분야에서도 새로운 '배터리 커패시터(탄소 첨가 전극 납축전지)' 기술 등을 앞세워 시장 경쟁력을 높여 나갈 방침이다.

최세환 SM벡셀 배터리사업부문 대표는 "납축전지와 리튬이온 기반의 ESS 기술력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새롭고 다양한 ESS 솔루션을 꾸준히 개발하고 선보여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도록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