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산업 생태계 전방위 지원…정부, 국민성장펀드 본격 투자 착수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행안부·기재부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행안부·기재부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정부가 국민성장펀드를 통해 인공지능(AI) 로봇 등 첨단전략산업의 생태계 전반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고 20일 밝혔다. 업계 애로 해결을 위한 AI 자동차의 도시단위 실증 등 구체적인 추진방안도 연내에 마련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날 성장전략TF 및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AI 릴레이 현장간담회 결과 및 조치계획'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지난 9월부터 관계부처 합동 'AI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진행하고 해당 산업(△AI로봇 △AI 자동차 △AI팩토리 △AI 선박 △AI 드론)의 애로요인을 발굴했다. 

정부는 국민성장펀드 출범을 통해 AI 로봇 등 첨단전략산업의 밸류체인 전반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또 연내에 AI 로봇 등 AI·딥테크 유니콘 기업 육성을 위해 5700억원 규모 펀드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주요 도메인별 학습·실증 지원기반 마련을 위한 휴머노이드 기술혁신센터 구축에 착수하는 등 다방면으로 애로를 해소한다. 

AI 자동차 업계의 애로 해결을 위해서는 연내에 도시단위 실증을 위한 추진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올해 안에 운수업계-자율주행 업계 간 사회적 협의체도 구성할 방침이다. 자율주행 등 유망 AI기업에 GPU 활용도 지원한다. 

AI팩토리 업계의 애로였던 동종업계간 협업체계 마련을 위해서는 기업간 공동활용 AI플랫폼 개발에 착수하고 AI 선박 업계의 애로였던 협력 강화를 위해서는 내년부터 'K-조선 테크 얼라이언스'를 가동한다. 공공수요 확대 등 드론업계의 애로 해소를 위해서는 드론을 활용한 산불 감시 등 첨단 행정서비스 확산을 추진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