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더레코드] 금투협회장 비밀선거 원칙은 어떻게 지켜질까

  • 회사 회비 따라 의결권 차등화

  • 외부 인력 운영해 독립성 확보

  • 전자투표 진행… 개입 원천 차단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 위치한 금융투자협회 사진금융투자협회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 위치한 금융투자협회 [사진=금융투자협회]

금융투자협회(금투협) 회장 선거는 최근 여의도 식사 자리의 단골 화젯거리 중 하나입니다. 금융투자협회는 2009년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에 맞춰 한국증권업협회, 자산운용협회, 한국선물협회가 통합해 출범했습니다. 그 7대 회장을 뽑는 선거가 올해 말로 다가왔습니다. 금융투자업계 전체를 대표해 목소리를 내야 하는 자리인 만큼 업계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는 것도 당연합니다. 

그런데 대화 중에 의문이 하나 생겼습니다. 금투협회장을 뽑는 선거의 비밀선거 원칙은 어떻게 지켜지는 걸까요? 금융투자협회 회장 선거의 의결권은 회사가 내는 회비를 기반으로 차등화됩니다. 동등한 의결권이 부여되기 때문에 각 투표용지가 누구의 것인지 몰라도 개표 결과에 차이가 없는 평등투표와 달리 금투협 회장 선거에서는 어떤 표가 어느 회사의 것인지 특정되어야 정확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지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비밀선거 원칙을 지키는 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선거 절차 전반을 주관하는 후보추천위원회(후추위)와 시스템 등 제반 사항을 지원하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 선거 운영 인력이 협회 외부 인사로 이루어져 독립성을 엄격하게 지키기 때문입니다. 

후추위 구성은 대외적으로 공개되지도 않습니다. 공정성을 지키기 위해서지요. 다만 통상적으로 이사회 합의를 거쳐 금투협 공익이사 6명 중 3명, 외부 인사 2명 등 총 5명으로 꾸려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후추위는 11월 초 구성된 이후 후보 신청을 받아 심사를 진행합니다. 12월 초에 쇼트리스트(최종후보자명단)를 발표하고 12월 중순에 선거를 치릅니다. 

선거 당일 가장 중요한 투표시스템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온라인투표시스템(K-voting)을 통해 전자투표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런 시스템은 외부 전산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 해킹 위험을 사전에 차단합니다. 그 밖에 개표기나 기표소 등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빌려오지요.

현장에는 선관위 외에도 경찰관이 참관하고요. 금투센터 임시총회장에 모인 회원사들은 차례로 기표소에 들어가 중앙선관위 기기를 통해 시스템에 접속해 투표를 합니다. 회사별 고유번호가 부여되기 때문에 투표가 끝나면 따로 개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시스템에 사전 입력된 산식을 통해 자동으로 가중치가 계산됩니다. 

협회는 선거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방안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2018년 초 4대 회장 선거부터 도입한 생중계 시스템을 통해 언론에 투표 현장을 공개하는 것도 그 일환입니다. 

금융투자업계 주요 인사들이 회장 후보로 거론되며 벌써부터 선거 열기가 뜨거운 가운데 금융투자협회는 "선거 전반이 외부 인력에 의해 운영되기 때문에 협회 내부인이 개입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며 "지금까지 선거를 치르면서 단 한 번도 절차적인 문제가 발생한 적이 없다"며 자신감을 나타냈습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