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이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세계철강협회 총회에 참석해 글로벌 철강 리더들과 업계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 구성원 모두가 주체가 되는 선진 안전 문화 정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총회에는 포스코그룹을 비롯해 타타스틸, 일본제철 등 세계적인 철강 기업 CEO들이 대거 참석했으며, 한국 철강업계를 대표해 집행위원회 회의에 참석한 장 회장은 △세계철강협회 안전보건 방침 △기후대응 전략 및 탈탄소 전환 △탄소 배출량 할당 방식의 국제 표준화 △알루미늄에 대응하는 차세대 철강 차체 솔루션 개발 등 주요 협회 활동 성과와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특히, 장 회장은 안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잠재 위험을 근본적으로 제거해야 하며, 협력사를 포함한 현장 직원 모두가 재해 예방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더불어 AI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안전체계 구축 등 포스코의 K-Safety 모범 사례를 만들어 확산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안전 혁신 노력은 총회 다음 날(13일) 곧바로 결실을 맺었다.
포스코는 세계철강협회가 매년 주관하는 안전보건 우수사례 공모전에서 ‘고로 풍구 영상 기반의 AI 스마트 기술’로 공정안전 부문 최고상을 수상했다.
이 기술은 고로 내부 설비 이상 상태를 AI가 자동 판별하고 신속하게 작업자에게 안내하여 설비 파손 위험을 예방하고 안전성을 높인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한편, 장 회장은 총회 기간 동안 호주, 유럽, 일본 등 글로벌 유수 철강사 CEO들과 잇따라 회동하며 한국 철강산업을 둘러싼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적극적인 글로벌 경영 행보를 이어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