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현대차 트럼프에 구애 공세…반응은 냉랭"

백악관에서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정의선 현대차 회장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백악관에서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정의선 현대차 회장 [사진=로이터·연합뉴스]


현대차그룹이 미국에 전방위적인 구애 공세를 펼쳤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냉랭한 반응이 돌아왔다는 보도가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 현대차가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자, 취임식에 100만 달러(약 14억원)를 기부하고, 지난 3월 2028년까지 향후 4년 동안 210억 달러(약 29조9145억원) 규모의 투자를 발표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한 무역 정책에 대응하려 했으나, 지금까지는 오판으로 드러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대차는 현재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 서명이 지연되면서 한국 생산 자동차에 한해 25% 자동차 관세를 부과받고 있다. 지난달에는 조지아주에 있는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300여명이 미국 이민당국에 체포됐다가 풀려났다. 이에 대해 WSJ는 "지난 1년간 트럼프 대통령의 환심을 사기 위해 끊임없이 애썼던 현대차의 노력에 성과가 별로 없었음을 보여준 극명한 결말"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WSJ는 사정을 잘 아는 소식통들을 인용해 현대차가 이민 단속 후에도 260억 달러(약 37조422억원) 규모의 미국 투자와 미국 내 생산 확충을 재차 공언해 한국 정부로부터 지적을 받기도 했다고 밝혔다. 현대차가 신속한 무역협상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트럼프 행정부와의 무역 협상에서 협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판단을 내린 한국 정부가 현대차를 강하게 질책했다는 것이다. WSJ에 따르면 한국 대통령실은 이 물음에 답변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