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28일 AI 활용현황에 대한 '2025년 기업 채용동향조사' 결과를 2차로 발표했다. 조사는 매출액 기준 상위 500대 기업 인사담당자와 전국 17개 시도 청년 재직자 3093명을 대상으로 지난 8월 1일~9월 1일 인사 분야에서의 AI 활용 현황, AI 채용 방식 도입 현황 등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조사에 응답한 기업 중 396곳 중 인사 업무에 AI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는 86.7%(공식·비공식 포함)에 달한다. AI 도구를 공식적으로 인사 업무에 도입한 기업 163곳 중 52.8%는 '직원 채용'에 사용하고 있다. 교육·훈련(45.4%)과 인사 관련 문의 응대(45.4%) 등도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직원 채용에 AI 도구를 사용하는 86곳의 대다수는 AI 기반 인적성 또는 역량 검사(69.8%)를 활용하고 있다. 지원 서류 검토(46.5%)와 AI 면접 및 대면 면접 시 결과 활용(46.5%)하는 사례도 많다.
반면 도입·확대 계획이 없는 25.5%(101개사) 기업은 AI 도구의 공정성, 객관성 등에 대한 확신이 없다(36.6%)고 판단하거나 최종 결정에 사람이 개입해야 하므로 중복적인 업무가 된다(19.8%)고 내다봤다.
취업 준비 시 AI 도구를 사용해 본 적이 있는 청년은 42.3%였다. 자기소개서, 이력서 등 작성(77.2%)에 활용하는 사례가 가장 많고 면접 준비(36.4%), 기업 정보 탐색(31.0%)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86.6%는 AI 도구 활용이 취업 준비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청년 재직자 61.8%는 업무 수행 시 AI 도구를 사용한하고 있다. AI 도구로 진행하는 업무는 자료조사 및 아이디어 도출(63.6%), 문서 작성(58.1%), 데이터 분석 및 수치 계산(35.4%) 순다.
정부는 채용과정에서 AI 활용 시의 윤리 기준과 단계별 체크리스트 등을 정리한 '채용분야 AI 활용 가이드라인'을 연내 마련할 예정이다. 또 청년들의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해 내일배움카드 등을 통해 관련 교육·훈련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임영미 고용정책실장은 "AI 관련 생태계가 매우 빠르게 변화하는 가운데 채용 시장에서도 AI 활용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며 "정부는 기업이 AI를 활용해 보다 공정하게 인재를 채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청년들에게는 AI 관련 직무 역량을 쌓을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