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이 이달 들어 벌써 2조원 가까이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에 이어 전세대출까지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리며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다시 빨라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7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60조8845억원으로 7월 말보다 1조9111억원 늘었다. 하루 평균 2730억원꼴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한풀 꺾인 7월(1335억원)보다 두 배 빠른 속도일 뿐 아니라 6월(2251억원)보다도 많은 수준이다.
주담대 잔액은 604조5498억원으로 한 주 사이 5796억원, 신용대출은 105조380억원으로 1조693억원 불어났다. 이 속도가 월말까지 지속되면 이달 가계대출 전체 증가액은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8월(9조6259억원) 이후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6·27 규제에도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빠른 이유로는 △규제 이전 주택 계약 관련 대출 실행 △정부의 추가 가계대출 규제를 예상한 대출 선수요 △공모주 등 주식 투자 △휴가철 신용대출 증가 등이 거론된다.
주담대의 경우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과 6·27 규제 시행 이전 급증한 주택 거래와 관련해 2~3개월 시차를 두고 이달 들어 잔금 대출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이달에는 신용대출 증가세가 눈에 띄었다. 금융당국이 필요 시 규제 지역의 담보인정비율(LTV) 강화 등 추가 조치를 시행하기로 하면서 신용대출이라도 먼저 확보하려는 수요가 늘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전세자금 마련이 어려워진 세입자들이 월세나 반전세로 방향을 틀면서 신용대출 수요를 더욱 자극하고 있다는 것이 은행권 설명이다.
바이오·정밀화학 등 업종의 공모주 청약 증거금을 마련하기 위한 수요가 적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달 지투지바이오, 삼양컴텍 등의 공모주 청약에 최대 13조원의 증거금이 쏠렸다.
문제는 신용대출이 담보대출에 비해 부실 위험이 크다는 점이다. 신용대출은 만기가 짧아 재대출이 어렵고 부실이 발생하면 은행은 전액 손실을 떠안아야 한다. 은행권은 신용대출 한도·금리·심사기준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가계대출 추가 규제에 더 고삐를 죈다는 방침이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대출 증가세가 꺾이지 않으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방안 등을 고려해야 한다"며 "집값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인 금리가 올라가면 집값과 가계대출을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