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AI 인재양성 전방위 확대…글로벌 기업·대한상의와 맞손

  • 청년취업사관학교 3개 캠퍼스, 마이크로소프트·세일즈포스·인텔과 실무형 AI 교육 도입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가운데이 28일 서울시청에서 이상복 대한상의 인력개발사업단장 유현경 한국마이크로소프트 공공사업부문장 손부한 세일즈포스코리아 대표 배태원 인텔코리아 대표 등 글로벌 기술기업들과 손을 맞잡고 AI 인제양성에 힘쓰기로 했다 사진서울시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가운데)이 28일 서울시청에서 이상복 대한상의 인력개발사업단장, 유현경 한국마이크로소프트 공공사업부문장, 손부한 세일즈포스코리아 대표, 배태원 인텔코리아 대표 등 글로벌 기술기업들과 손을 맞잡고 AI 인제양성에 힘쓰기로 했다. [사진=서울시]


서울시가 글로벌 기술기업들과 손잡고 AI 인재양성 체계를 전방위로 확대한다.
서울시는 28일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세일즈포스코리아, 인텔코리아와 청년 AI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실무형 중심의 민관 협력 모델을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서울시청 서소문2청사에서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 이상복 대한상의 인력개발사업단장, 유현경 한국마이크로소프트 공공사업부문장, 손부한 세일즈포스코리아 대표, 배태원 인텔코리아 대표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서울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AI 특화캠퍼스로 개편된 청년취업사관학교 마포, 종로, 중구 캠퍼스에 기업 주도의 커리큘럼을 도입한다. 약 4개월간 운영되는 교육과정은 기초 이론부터 현장 프로젝트 수행까지 아우르며, 현직자의 멘토링 및 특강도 병행된다. 이를 통해 AI 서비스 개발자 등 연간 300명의 실무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세일즈포스, 인텔 등 협약 기업들은 훈련과정 설계, 프로젝트 제공, 특강 등 교육 전반을 직접 지원하며, 대한상의는 산업계 수요 반영과 교육시설 운영을 돕는다. 서울시는 전반적인 행정·정책적 지원을 맡는다.

청년층을 위한 AI 교육은 청년취업사관학교 외에도 서울AI허브와 '서울형 라이즈(RISE)' 사업을 통해 고급·최고급 인재 양성으로 이어진다. 서울AI허브는 AI 반도체 설계, AI+제조 융합, 최고급 CAIO(Chief AI Officer) 과정 등을 운영하고, 라이즈 참여 대학 35곳은 AI 융합형 인재 2천 명 양성을 목표로 다양한 협업 과제를 수행 중이다.

오세훈 시장은 앞서 발표한 ‘글로벌 AI 혁신 선도도시 서울’ 비전을 통해 매년 1만 명의 AI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서울시는 연말까지 자치구별 청년취업사관학교 25개소 개관을 완료하고, 연간 4,000명의 청년에게 맞춤형 취업상담과 실무 중심 교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주용태 경제실장은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민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청년취업사관학교, 서울AI허브, 라이즈를 축으로 한 AI 인재 양성 체계를 통해 서울이 글로벌 AI 선도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