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시민들의 일상과 직결된 '지반침하(땅꺼짐) 사고를 막기 위해 전면적인 기술 대응에 나섰다. 시는 지반침하를 조기에 탐지하고 예측할 수 있는 첨단 신기술 6건을 선정, 7월 말부터 실제 공사현장에 적용해 성능을 검증한다고 24일 밝혔다.
시는 "땅속 위험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시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대 요소"라며 "이번 기술 실증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시민 안전을 넘어 안심을 보장하는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이번에 선정된 기술은 총 22건의 접수작 중 전문가 심사를 거쳐 최종 선발됐다. 주요 기술은 △위성영상과 AI를 활용한 지반침하 위험 예측 △지능형 CCTV와 GPR(LiDAR 포함) 융합 탐지 △광섬유 기반 음향탐지 △경고등이 점등되는 안전신호등 시스템 등이다. 이들 기술은 AI·사물인터넷·센서융합 등 ICT 기술이 핵심이다.
선정된 기술들은 현재 시공 중인 △9호선 4단계 건설현장과 서울아레나 복합문화시설 조성 현장에 설치되어, 5주간의 집중 실증을 통해 실제 침하 징후를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하는지 검증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기술의 신뢰성과 현장 적용 가능성 확보를 위해 외부 전문가 평가단을 별도 구성하여, 객관적 성능평가도 병행한다. 성과가 입증된 기술은 올해 하반기부터 서울시내 주요 굴착공사장에 시범 도입되고, 궁극적으로는 전면 확대도 검토한다.
"시민이 침하 위험을 직접 눈으로 확인"… 안전신호등 기술도 도입이번 실증 기술 중에는 일반 시민도 쉽게 위험을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든 '지반침하 안전신호등'도 포함돼 있다. 해당 장치는 땅속에 매설된 침하핀 장치를 통해 위험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경고등이 점등되며, 하수관거 등 시민 통행이 잦은 장소에서 현장 경고 체계로서 강점을 지닌다.
또한, 광섬유 센서를 활용한 음향 기반 탐지 기술은 수 km 범위에서 공동(空洞) 형성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어, 지하철 굴착이나 터널 시공처럼 깊은 지하공사에도 효과적이다.
서울시 한병용 재난안전실장은 "이번 신기술 실증은 보이지 않는 위험으로부터 시민을 보호하기 위한 서울시의 실질적 노력"이라며, "앞으로도 민간의 창의적인 기술을 적극 발굴해 현장에 빠르게 적용함으로써 시민이 일상에서 안심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는 지반침하 분야 외에도 기후위기, 화재, 붕괴 등 다양한 재난안전 분야의 신기술 공모와 설명회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으며, '서울안전누리' 홈페이지를 통해 연중 기술 제안을 접수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