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0조원을 굴리는 국민연금의 국내주식 투자 방식에 따라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거래 비용이 크게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5일 국민연금연구원의 '국내주식 기금운용 투자전략별 거래 특성에 관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1036조원(2023년 말 기준)에 달하는 국민연금은 세계 3대 연기금으로, 그 거대한 규모 때문에 주식 매매 행보 하나하나가 국내 증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보고서는 기금의 투자 전략을 크게 '직접운용'과 '위탁운용', 그리고 '패시브'와 '액티브' 방식으로 나누어 각각의 거래 특성과 시장 효과를 살폈다.
'패시브'는 시장 지수를 그대로 따라가며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방식이며, '액티브'는 시장 평균보다 높은 수익을 목표로 적극적으로 종목을 사고파는 전략이다.
현재 국민연금은 국내주식의 약 30%를 패시브, 70%를 액티브 전략으로 운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절반가량은 외부 자산운용사에 맡기는 '위탁운용' 방식으로 관리된다.
보고서의 핵심은 투자 방식에 따라 '시장충격비용'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시장충격비용이란 국민연금처럼 거대한 자금이 주식을 대량으로 매매할 때 주가를 순간적으로 올리거나 내리면서 발생하는 '보이지 않는 비용'을 의미한다.
이 비용이 많이 들수록 기금의 실제 수익률은 줄어든다.
분석 결과 국민연금이 직접 운용하는 전략, 특히 '액티브 직접(코어)' 전략은 시장 상황을 고려해 거래를 분산하는 등 시장충격비용을 최소화하는 효율적인 모습을 보였다.
반면 외부 운용사에 맡기는 '액티브 위탁' 전략 중 일부는 대량 매매 시 시장에 더 큰 충격을 주며 높은 거래 비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순수주식형' 위탁 전략은 매수와 매도 양쪽 모두에서 비효율적인 거래 비용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뚜렷했다.
보고서는 "결론적으로 국민연금의 국내주식 비중이 점차 축소되는 상황에서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고 거래 비용을 절감하는 운용 전략의 고도화가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특히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을 유발하는 위탁운용 부문에 대한 성과 평가와 관리 체계를 개선하고, 장기적으로 기금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직접운용 부문의 역할 강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15일 국민연금연구원의 '국내주식 기금운용 투자전략별 거래 특성에 관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1036조원(2023년 말 기준)에 달하는 국민연금은 세계 3대 연기금으로, 그 거대한 규모 때문에 주식 매매 행보 하나하나가 국내 증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보고서는 기금의 투자 전략을 크게 '직접운용'과 '위탁운용', 그리고 '패시브'와 '액티브' 방식으로 나누어 각각의 거래 특성과 시장 효과를 살폈다.
'패시브'는 시장 지수를 그대로 따라가며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방식이며, '액티브'는 시장 평균보다 높은 수익을 목표로 적극적으로 종목을 사고파는 전략이다.
보고서의 핵심은 투자 방식에 따라 '시장충격비용'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시장충격비용이란 국민연금처럼 거대한 자금이 주식을 대량으로 매매할 때 주가를 순간적으로 올리거나 내리면서 발생하는 '보이지 않는 비용'을 의미한다.
이 비용이 많이 들수록 기금의 실제 수익률은 줄어든다.
분석 결과 국민연금이 직접 운용하는 전략, 특히 '액티브 직접(코어)' 전략은 시장 상황을 고려해 거래를 분산하는 등 시장충격비용을 최소화하는 효율적인 모습을 보였다.
반면 외부 운용사에 맡기는 '액티브 위탁' 전략 중 일부는 대량 매매 시 시장에 더 큰 충격을 주며 높은 거래 비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순수주식형' 위탁 전략은 매수와 매도 양쪽 모두에서 비효율적인 거래 비용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뚜렷했다.
보고서는 "결론적으로 국민연금의 국내주식 비중이 점차 축소되는 상황에서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고 거래 비용을 절감하는 운용 전략의 고도화가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특히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을 유발하는 위탁운용 부문에 대한 성과 평가와 관리 체계를 개선하고, 장기적으로 기금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직접운용 부문의 역할 강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