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가계부채 관리 방안’이 시행된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4일까지 17일간 신고된 서울 아파트 거래 건수는 총 1265건이다. 규제 시행 직전 17일간의 거래량(7221건)과 비교하면 거래량이 82.5%나 감소해 규제 약발의 효과가 발휘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대출 규제로 인해 서울에서 중소형 저가 아파트에 대한 매입 비중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규제 전 전체 매매 중 9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38.5%(2784건)였으나, 규제 시행 이후에는 해당 비중이 55.1%(698건)로 상승했다. 자금 부담이 큰 대형 평형 대신 소형 아파트로 눈을 돌리는 실수요가 늘면서 중저가 중소 평형대에 매수세가 쏠린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엔 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신고가를 경신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영등포구 당산동3가 ‘당산계룡리슈빌1단지’ 전용면적 42.4㎡는 이달 5일 종전 대비 3500만원 상승한 7억5000만원에 신고가 거래됐다.
영등포구 당산동3가에 위치한 A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대출규제 전까지 인근 여의도 구축이 빠르게 오르면서 영등포까지 매수세가 넘어와 중대형 매물이 신고가를 기록했지만 대출 규제 이후 최근엔 문의가 눈에 띄게 줄었다”면서 “소형 매물의 경우 문의 자체는 줄긴 했지만 중대형에 비해 거래는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내 아파트가 중소형을 중심으로 거래되는 반면, 오피스텔의 경우 전용 60㎡ 이상의 상품이 최근 대출규제를 피할 주거 상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주거형 오피스텔의 경우 건축법상 업무시설, 주택법상으로는 준주택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담보대출에 대한 규제를 받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구조나 평형이 아파트와 크게 차이가 없는 ‘아파텔’의 경우 꾸준히 자체 신고가를 갈아치우고 있다. 이달 4일 서울 양천구 목동 ‘목동파라곤’ 전용 95㎡ 매물은 직전 거래 대비 3000만원 상승한 16억8000만원의 신고가에 거래가 이뤄졌다. 분양 당시 '명품형 아파텔'을 표방했던 송파구 르피에드 문정 역시 전용 44.56㎡ 매물이 이달 14일 직전 신고가(7억3000만원) 대비 2억원가량 오른 9억원에 최고가 거래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대출규제 국면에서 서울 내 소형 아파트 품귀 현상과 실주거 공급 부족이 맞물리며 중저가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양지영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은 “대출 한도가 걸려있어 결국은 6억원으로 매입이 가능한 중소형 매물과 아파텔 등의 상품이 풍선효과를 받을 수 있다. 비교적 규제 영향에서 적고 금리 인하 기대감이 있기 때문에 상승 기대감도 일정 반영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