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국민 술' 소주…반세기 동안 가격 20배↑·도수는 '절반' 수준↓

  • 한국물가정보, 1970년 이후 물가 변동 담은 '종합물가총람' 발간

한국물가정보 종합물가총람 사진한국물가정보
한국물가정보 '종합물가총람' [사진=한국물가정보]
반세기 동안 한국 사회가 변한 만큼 '국민 술' 소주도 세월에 따라 모습을 바꿔왔다. 지난 55년간 소주 가격은 20배 가까이 올랐지만, 알코올 도수는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다.

전문가격조사기관인 한국물가정보는 창립 55주년을 맞은 27일 1970년부터 올해까지 주요 품목의 가격 변동을 집대성한 '종합물가총람'을 발간했다.

1970년 공식 가격조사가 시작됐을 당시 소주 360㎖ 한 병 가격은 65원이었다. 당시 쇠고기 500g은 375원, 돼지고기 500g 208원, 쌀 40㎏이 2880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소주는 결코 저렴한 편이 아니었다.

소주 가격이 처음 100원대를 기록한 것은 1975년으로, 5년 만에 53.8% 상승했다. 같은 기간 쌀 40㎏ 가격이 1만400원으로 3.6배 오르는 데 그치면서 소주는 '가성비'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후 소주 가격은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1980년 190원에서 1981년 270원으로 크게 뛰었고 1988년 서울올림픽 당시 350원, 1989년 450원을 기록했다. 1995년까지 400원대에 머물렀지만 1996년 510원으로 올라섰다. 외환위기가 닥친 1998년에는 600원대로 진입했고, 2004년 1030원으로 '1000원 시대'에 들어섰다.

한국물가정보가 조사한 2025년 11월 기준 대형마트 소주 판매 가격은 1260~1340원 수준이다.

가격과 달리 소주의 알코올 도수는 꾸준히 낮아졌다. 1920년대 증류식 소주는 도수가 35도에 달하는 독주였으며 1960년대까지 30도 제품이 주류였다. 1970년대 25도 소주가 등장해 '표준 도수'로 자리 잡았고 1990년대에는 21도·23도 제품이 나오며 본격적인 도수낮추기 경쟁이 시작됐다.

2006년에는 도수가 처음으로 20도 아래인 19.8도 소주가 출시됐고, 2014년 17도대, 2019년 16도대 제품이 연이어 나오며 현재 시장의 주류가 됐다. 2023년에는 대전·충남·세종 지역 제조업체인 선양소주가 14.9도 제품을 선보여 국내 최저 도수 기록했다.

한국갤럽이 지난해 3월 22일부터 4월 5일까지 전국(제주 제외) 만 13세 이상 1777명의 음주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장 선호하는 술은 소주(52%)였으며, 이어 맥주(38%)가 2위를 차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