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조는 모습을 가리켜 '슬리피 조'라고 조롱하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공식석상에서 조는 장면이 포착되고, 공개 일정도 눈에 띄게 줄어드는 등 노화의 징후가 드러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올해 79세인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 게시물, 기자들과의 설전, 강성 연설 등을 통해 여전히 ‘정력과 에너지’를 과시하고 있지만 고령으로 인해 이런 ‘에너자이저’ 이미지를 유지하기 어려워지고 있다고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6일 백악관 집무실(오벌 오피스)에서 열린 비만약 가격 인하 발표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눈꺼풀이 서서히 내려가 거의 감길 정도로 보였고, 몇 초 동안 깜빡 조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또 다른 순간에는 눈을 뜬 채 자신을 지켜보는 기자들 쪽을 바라보기도 했다.
취임 당시부터 역대 최고령 대통령이었던 트럼프의 공식 일정은 1기 때와 비교해 크게 줄었다. NYT 분석에 따르면 2기 취임일인 지난 1월 20일부터 11월 25일까지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행사는 1029건으로, 2017년 같은 기간 1688건과 비교하면 39% 감소했다. 일정 시작시각도 평균 오전 10시 31분(2017년)에서 올해는 낮 12시 8분으로 늦춰졌다. 종료시각은 두 시기 모두 오후 5시 직후였다.
또한 NYT는 올해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내 이동은 크게 줄어든 반면, 해외 방문은 2017년 4회에서 올해 8회로 두 배로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건강을 둘러싼 의구심도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간은 태어날 때 정해진 양의 에너지를 갖고 있으며 격렬한 활동은 그 에너지를 고갈시킨다는 오랜 믿음 때문에 규칙적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붉은 고기와 맥도날드 음식을 즐겨 먹는 식습관도 지적 대상이다.
지난 9월에는 오른손 등과 발목이 멍·부종으로 부어 있는 모습이 포착돼 건강 이상설을 키우기도 했다. 또한 대통령의 건강 공개 방식에는 명확한 기준이 없어, 주치의가 일부 결과만 요약해 공개하는 경우도 많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건강 상태를 전면적으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 그는 지난달 아시아 순방 중 기자들에게 최근 월터 리드 국립군사병원에서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받았다고 밝혔지만, 이는 주치의가 공개한 요약본에는 포함되지 않은 내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검사에 대해 다시 질문을 받자 "그들이 무엇을 분석했는지는 전혀 모르겠다. 하지만 무엇이든 분석 결과는 훌륭했고, 그들이 본 것 중 가장 좋은 결과라고 했다"고 답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대선 과정에서 자신보다 3.5세 많은 바이든 전 대통령을 고령이라고 공격했지만, 결국 그 자신도 노화의 현실을 피할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매슈 달렉 조지워싱턴대 정치역사학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바이든 전 대통령의 선례를 따르고 있다며 "주변 인물들은 판타지 속에 살고 있는 것처럼 얘기하고, 트럼프는 그런 식으로 자신의 건강에 관한 허구를 만들어내 그가 79세로 역대 백악관을 점유한 최고령자 중 한 명이라는 차갑고도 분명한 현실을 가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