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연말에 발표할 예정인 추가 주택 공급 대책에 수도권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카드를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시장 전반이 크게 출렁이고 있다. 서울 강남·도심 외곽 등 핵심 후보지에서는 매물이 빠르게 회수되고 호가가 단기간에 치솟는 등 ‘정책 프리미엄’ 기대감이 즉각 반영되는 모습이다.
반면 실제 해제까지는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 협의와 주민 반발, 공공성을 둘러싼 정치적 변수 등 다층적 리스크가 얽혀 있어 정책 실현성에는 여전히 물음표가 따라붙는 실정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연내 추가 주택 공급 대책에서 서울 외곽 그린벨트 해제 등을 검토할 것으로 전해짐에 따라 일부 지역에서 매물 회수 움직임이 나타나고 주요 단지 실거래가도 상승하는 상황이다.
이날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강남구 세곡동 '강남데시앙파크' 전용면적 84.9㎡ 매물은 지난 24일 역대 최고가인 15억4000만원에 손바뀜됐다. 앞서 이달 4일 ‘세곡푸르지오’ 전용 84㎡ 매물도 기존 최고가 대비 1억9000만원 상승한 19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세곡동 A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대책 이후 거래는 없지만 오히려 신고가는 세곡동과 자곡동 일대에서 꾸준히 나오는 상황”이라며 “강남권에서 비교적 가격에서 우위가 아직 있는 데다 그린벨트 이슈로 관련 호재가 반영될 것이라는 기대감에서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20일 LH·국토부 합동 주택공급 태스크포스(TF) 출범식에서 “수도권 내 신규 택지를 최대한 빨리 확보하겠다”며 그린벨트 해제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이를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주택 공급 정책 재가동 신호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강남권 세곡·자곡동 일대, 수서 차량기지 등 강남권 외곽 그린벨트는 교통망 접근성, 생활 인프라 등 측면에서 대규모 단지 조성 가능성을 갖춘 곳으로 꼽힌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서울 외곽과 강남권에서 실질적 신규 주택 공급 여지가 높은 곳은 그린벨트 외에는 거의 없다”며 “정부가 수년 내 발생할 주택 공급 쇼크를 완화하려면 해당 지역 해제가 사실상 유일한 카드”라고 말했다.
이에 과거 논의가 중단된 그린벨트 해제 후보지 일부 역시 해제 재검토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대표적으로 △노원구 태릉CC △마포구 서부운전면허시험장 △서초구 서울지방조달청 등이 거론된다. 특히 이들 지역은 기존 검토자료·환경평가 자료가 있어 재가동 추진 속도가 빠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과거에도 토지 수용과 교통·환경 인프라 부담, 지자체 반발, 인근 주민 반대로 실제 추진이 쉽지 않았던 만큼 개발 사업이 결정되더라도 적지 않은 난항이 예상된다. 실제 서울 서리풀지구 개발은 사업 예정 부지 내 주민들이 최근 일제히 개발 반대 목소리를 내면서 지난 24일 예정된 관련 공청회마저 무산된 바 있다.
한 부동산 정비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공급 확대를 위해 꺼낼 수 있는 카드는 많지 않다”며 “정책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그린벨트 해제 규모·공공 비중·시행 일정까지 구체적으로 제시돼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