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전략광물 게르마늄 '공급망 안정화' MOU 체결

  • 국가희소금속센터·에이치케이머티리얼즈와 파트너십

  • 고려아연 "게르마늄 안정화 이끌어 中 의존 탈피할 것"

고려아연이 20일 서울 용산구 피스앤파크 컨벤션에서 열린 ‘제2차 희소금속 산업발전협의회’에 참여해 국가희소금속센터 에이치케이머티리얼즈와 게르마늄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박경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희소금속센터 소장 이수환 고려아연 영업본부장 나성화 산업통상부 산업공급망정책관 오찬우 에이치케이머티리얼즈 상무사진고려아연 제공
고려아연이 20일 서울 용산구 피스앤파크 컨벤션에서 열린 '제2차 희소금속 산업발전협의회'에 참여해 국가희소금속센터, 에이치케이머티리얼즈와 게르마늄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은 왼쪽부터) 박경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희소금속센터 소장, 이수환 고려아연 영업본부장, 나성화 산업통상부 산업공급망정책관, 오찬우 에이치케이머티리얼즈 상무 [사진=고려아연 제공]
고려아연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희소금속센터(KORAM), 에이치케이머티리얼즈와 '게르마늄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민관이 긴밀히 협력하는 파트너십이 형성되며 국내 전략광물 산업 생태계 조성이 한층 더 탄력을 받게 됐다는 평가다.

고려아연은 이날 서울 용산구 피스앤파크 컨벤션에서 열린 '제2차 희소금속 산업발전협의회'에 참여해 게르마늄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희소금속 산업발전협의회에는 산업통상부, 학계, 연구기관, 수요기업 관계자 약 50명이 참석해 희소금속 분야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을 점검하고 정부와 산학연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MOU에 따라 고려아연은 2028년부터 생산할 예정인 게르마늄을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상생협력 방안을 구체화한다. 또 국가희소금속센터와 협력해 게르마늄 공급망 안정화에 필요한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게르마늄 공급망 안정화 성공모델을 발굴해 확산하고 게르마늄 공급망 안정화와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 노력도 병행한다.

게르마늄은 고성능 및 특수 반도체 소자와 반도체 공정용 특수가스, LED, 광섬유 케이블, 초전도체 등 핵심 첨단산업에서 쓰이는 필수 금속이다. 야간투시장치, 열화상 카메라, 적외선 감지기 등 방위산업 소재로도 쓰인다. 세계 최대 게르마늄 생산국은 중국으로, 코트라(KOTRA)에 따르면 2021년 글로벌 정제 게르마늄 생산량 140톤의 68%가 중국에서 생산됐다.

앞서 고려아연은 올해 8월 세계 1위 방산기업 록히드마틴과 게르마늄 공급·구매 MOU를 맺었다. 온산제련소에 1400억원 안팎을 투자해 연산 12t의 게르마늄 공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또 고려아연은 중국 의존도가 높은 갈륨도 오는 2028년부터 생산할 계획이다. 557억원을 투자해 연간 약 15t의 갈륨 회수 공정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이번 업무협약은 국내 희소금속 자립 기반 강화에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자사는 국내외 희소금속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