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역 및 경기도 12개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면서 수도권 주택 매물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9일 부동산 플랫폼 아파트실거래가(아실)에 따르면 서울 전역 아파트 매물은 지난 27일 기준으로 6만4629가구를 기록했다. 토허구역이 적용된 첫날인 20일 7만1656가구에 비해 10%가량 감소했다.
서울이 지난 일주일간 전국 지자체 중에서 가장 많은 주택 매물 감소량을 보였다. 경기도는 17만293가구로, 일주일 전(17만7838가구)과 비교해 4.3% 감소했다.
규제 발표 후 일주일 사이 수도권에서 매물이 급격히 감소한 건 토허구역 지정 여파로 풀이된다. 갭투자 거래가 막히면서 전세 낀 매물이 회수됐고, 급매물만 남아 있는 상황이다.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업계 관계자는 "토허구역 첫날인 20일 전까지 계약하려는 건이 물밀 듯 들어왔는데, 현재 매물이 실종 상태"라며 "일주일간 계약 후속 절차를 처리하느라 바빴지만 지금은 거래 움직임이 거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구 단위로 보면 서울보다 경기도의 여파가 더 컸다. 성남 수정구는 일주일 만에 25.9% 감소해(1139→844가구) 가장 많은 감소율을 보였다. 과천시의 이날 매물은 340가구로, 7일 전 442가구에 비해 23.1% 줄었다. 성남 분당구 감소율은 21.9%(2766→2163가구)로 세 번째를 차지했다.
과천·분당은 서울 한강벨트의 추가 규제가 예상되자 '풍선효과' 기대감에 집값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셋째 주(10월 20일 기준) 성남시 분당구(1.78%), 과천시(1.48%)의 전주 대비 집값 상승률은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3년 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규제 발표 직후 실거주 의무를 피하기 위한 수요가 집중되면서 매물이 빠르게 소진된 것으로 풀이된다.
토허구역과 함께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 지정 등 삼중 규제에 거래량도 영향을 받았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20일부터 이날까지 서울에서 총 37건이 매매 거래됐다. 직전 일주일(13∼19일)간 2208건이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98.3% 감소했다. 다만 주택 매매 거래 신고는 계약일로부터 30일까지여서 거래량은 더 늘어날 수 있다.
대출 한도가 낮아지면서 집을 팔고 대출을 받아 '상급지 갈아타기'를 계획했던 실수요자들도 매물을 거둬들인 모습이다. 주택담보인정비율(LTV) 한도가 기존 70%에서 40%로 축소됐기 때문이다.
다만 금융당국이 9일 만에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갈아타기의 경우 70%로 완화한다고 번복하면서 수요가 일부 살아날 것도 점쳐진다. 또 생애최초에는 규제를 피하면서 무주택자들이 내 집 마련에 나설 가능성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매도자·매수자의 관망세로 내년 초까지 거래 절벽이 이어진다고 내다봤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수요자 관망세로 당분간 신고가가 나오기는 어렵다"며 "아파트 매매 대신 전세를 택하는 실수요층이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