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0·15 대책이 시행된 이달 16일부터 전날까지 열흘간 서울에서 체결된 아파트 매매계약은 564건으로 집계됐다. 직전 열흘(10월 6∼15일) 거래량은 2679건으로 대책 시행 이후 감소율이 78.9%에 달한다.
규제지역 적용으로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종전 70%에서 40%로 축소되고, 주담대 한도도 차등 적용되는 등 대출 규제가 크게 강화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시장에 풀렸던 매물도 크게 감소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10·15 대책 시행 첫날인 지난 16일 7만4044건에서 전날에는 6만6647건으로 10% 감소했다.
거래량과 매물 감소로 아파트 가격 상승세도 위축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부동산R114의 전국 아파트 주간 시황에 따르면 토허구역 지정 첫날인 이달 20일부터 24일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08%로 직전 주(0.42%) 대비 큰 폭으로 둔화했다.
보유세 인상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과 양도소득세 중과 유예가 내년 5월 종료될 것이라는 전망 등을 고려해 길게는 내년 상반기까지 제한적인 수준의 가격 조정이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아울러 정부는 앞서 발표한 9·7 공급대책의 후속 작업을 이어가는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R114 통계를 보면,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올해 27만7617가구에서 내년 21만483가구로 감소할 전망이다. 서울은 같은 기간 4만2684가구에서 2만8984가구로 줄어들 전망이다. 임대 물량을 제외하면 3만2810가구에서 1만7687가구로 줄어든다.
여당과 정부는 서울을 중심으로 연도별·구별 세부적인 공급 계획을 연내 발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